설계/시공관련 질문

콘크리트 경사지붕 하지작업 문의

1 남연 21 5,699 2018.04.24 21:25

본 협회에 있는 콘크리트 경사지붕을 구성할려고 합니다.

스텐재질의 기성품 또는 제작품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8da7c2a1f394c01f0bb99fd823c183bd_1524571360_3826.jpg


아래는 지금 작도하고 있는 저희 집 지붕 도면입니다.

8da7c2a1f394c01f0bb99fd823c183bd_1524572542_1078.jpg
8da7c2a1f394c01f0bb99fd823c183bd_1524572547_648.jpg

제가 사용할려는 네오폴 900*605*200사이즈를 도면상에 표기 했습니다.

궁금한건 스텐 각파이프의 두께와 고정브라켓 설치간견등의 수량을 어떻게 배치하는가 입니다.

지붕에는 태양광 3KW+3Kw까지 고려하고 있습니다.

각관은 세로기준으로 900마다 설치하고

하부와 지지하는 고정브라켓은 900*1210 마다 하나씩 설치할까 하는데 전혀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서

어떤 기준이 있을지궁금합니다.

협회자료를 봐도 기준을 알수 없어서 문의 드리오니 알려주시면 대단히 감사드리겠습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8.04.24 22:52
SST 앵글은 6T, 앙카는 M8을 사용하시고 지금의 간격을 유지하시면 되십니다.^^
G 남연 2018.04.25 19:26
답변 감사합니다.
G 안드레 2018.05.01 11:00
콘크리트 슬라브위 판상형 단열재인 경우에도 통기층이 필요한가요?
필요하다면 이 통기층의 역활은 어디에서 오는 결로를 건조하기 위한건가요?
내부에서 콘크리트 슬라브를 통과해서 습기가 올라오지는 않을 듯 한데요......
혹 상부 방수등 마감을 위한 하지 작업의 용도는 아니겠지요?
M 관리자 2018.05.01 11:23
네.. 필요합니다.
통기층의 첫번째 역할은 지붕 마감재 표면의 과열된 온도가 실내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두번째 역할은 지붕 마감재의 뒷면에 생기는 결로수(겨울철 해뜨기 직전에 주로 발생함)의 증발 역할입니다.
이 기능을 기본으로 하여, 목구조 또는 무기질단열재를 사용한 외단열 콘크리트구조에서 습기의 배출 역할이 더해집니다.
그러므로 구조체의 종류와 무관하게 통기층은 필요합니다.
G 남연 2018.05.01 17:49
https://blog.naver.com/jeffrey001
이 블로그 운영자님께서 자주 건축후 여러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 해주시는데 위 내용과 연관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위와 같이 경사지붕을 구성했을때 징크지붕+방수시트+osb또는 합판+통기+단열재+방습지 인데 금속지붕에서 발생한 결로가 징크와 시트 osb가 붙어있어 결로는 osb하부에 생기지 않을까 싶은데 그러면 발생한 결로가 eps에 떨어지고 할텐데 eps상부에도 방습지가 필요할까요?
제일 좋은방법은 징크지붕+통기층일거 같은데 말이죠.
M 관리자 2018.05.01 18:02
그렇지는 않습니다. 그 정도는 EPS 표면에서 증발가능합니다.

엄밀히는 징크지붕을 구성할 때, 징크하부에 일정 두께의 공기층을 확보하게 해주는 멤브레인이 들어가게 되어요.  이 층은 징크의 부식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이 제품의 가격이 제법되어서... 칼라강판에서는 종종 생략되고 있습니다.
G 남연 2018.05.01 18:23
오늘은 근로자의 날인데 관리자님께서는 여전히 근무중이시네요.^^
그리고 앵글과 브라넷은 스텐으로 하는데 앵글은 50*50*6t 정도면 될까요?
M 관리자 2018.05.01 18:37
브라켓의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 ㅠ
단열재 두께는 얼마인가요? 앵글 자체의 길이가 단열재 두께를 모두 커버하는 개념이거든요..

ps. 근로자이긴한데... 다른 볼일이 없어서요.. ㅎ
G 남연 2018.05.01 18:45
브라켓은 사각 각관을 받치는걸 의미할거 같고
각관은 사각형 스텐을 의미하는거 같습니다.
브라켓은 'ㄹ' 모양의 스텐으로 6t입니다.
각관은 아직 규격을 정하지 않아서...
G 안드레 2018.05.01 18:48
질문글 올리고 자료실에 보니 통기층이 필요한 이유가 잘 설명 되있네요.
미리 보지 못하고 질문드려 한편 죄송합니다....

혹 이 질문도 자료실에 있는 내용인지는 모르겠는데요.

역전지붕인 경우 자료를 보니 바탕이 콘크리트인 것 같습니다. 목구조나 스틸하우스에서 지붕 방수층 확실히 시공하고 실내에 방습층을 설치한다면 같은 내용으로 역전지붕이 가능 한가요?
M 관리자 2018.05.01 22:40
방습층을 "가변형방습층"으로 선택을 하면 실행 가능합니다.
M 관리자 2018.05.01 22:42
남연님...
가급적 ㄴ자 앵글을 길이를 가급적 단열재두께+각관의 크기+여유치를 더한 값으로 주문하시는 것이 여러모로 편합니다. 앵글 따로 브라켓 따로 시공하기에는 손이 너무 많이 가서요..
G 남연 2018.05.01 23:49
늦은 저녁까지 답변 감사드립니다.
제가 도면을 그려서 다시 올려 보겠습니다.
M 관리자 2018.05.02 02:37
G 육현정 2023.07.24 17:36
아스팔트 슁글 지붕이 중간부분에서 완만히 꺽여 빗물받이로 빠집니다. 비가 많이 지속적으로 오다보면 완만한 부분에서 물이 머물다 보니 누수가 발생하는 듯하여 목재로 하지 작업 후 칼라강판을 셀프 작업 해보려 합니다. 몇가지 질문이 있는데 자세한 답변을 원합니다.
1.하지작업을 각목으로 하려는데 괜찮을까요? 사이즈가 궁금합니다.
2.하지작업 수평은 어떻게 보나요? 레벨기도 없고, 혹시 수평빔으로 볼 수 있나요?
3. 완만한 부분의 각목은 어떠한 방법으로 높이를 맞출 수 있을까요???
4. 칼라강판을 길면 두장을 잘라서 이어 겹치는게 낳을까요?
M 관리자 2023.07.25 11:22
현재... 그 완만하다고 표현한 지붕의 경사가 대략 어느정도 인가요?
G 육현정 2023.07.25 11:29
정확한 각도는 모르겠으나 벽면 대리석 높이에 끝단을 맞추려고 슁글 아래부분에 목공하지 작업 후 합판을 붙혀 아스팔트슁글을 부착했습니다. 사진으로 봐도 대충 완만한 부분을 보실 수 있습니다.
G 육현정 2023.07.25 11:30
사진 첨부를 하나더 올려봅니다.
M 관리자 2023.07.25 12:19
1. 바탕재로 각목을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크기는 2X2 방부목으로 하시어요.
2. 맨 위의 수평과 맨 하부의 수평을 먼저 잡고, 그 사이는 그냐 쭉 서로 연결을 하는 개념으로 하시면 되는데.. 수평을 잡을 때는 공기방울이 들어 있는 수평자로도 가능합니다.
3. 각목 쪼가리는 먼저 대고, 짧은 각목을 수직으로 고정하여 높이를 맞추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4. 칼라강판은 중간에 이을 수 없습니다. 물론 잇는 방법이 있습니다만, 셀프로 하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그 부분을 위해서라면 직업으로 하시는 분이 현장에 와야 합니다.
G 육현정 2023.07.26 10:21
관리자님 마지막으로 하지작업 간격은 얼마가 좋습니까?
촘촘하면 좋겠지만 자재비도 그렇고
추천하는 간격이 있는지요?
M 관리자 2023.07.26 13:56
추천이라기 보다는.. 합판 크기에 맞추는 것이 맞습니다. 즉 1200 폭이면 바탕재 간격은 600, 900 폭이면 450 입니다.
다만 600 간격일 경우, 합판은 18mm 를 사용해야 하므로, 400mm 간격으로 하고 12mm 합판을 사용하는 것도 요령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