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기밀층과 습기

G 홍유표 2 1,478 2018.05.26 12:20
관리자님 과 홍도영선생님의 통기층 관련 답신에 감사드립니다
기밀층 관련 개념이 없어 질문 드립니다
가, 2x6 구조목 (그라스울 가등급 충진 ) 벽체 전면에 투습방습지로
처리한후 연장하여 서까래밑부분,2층바닥 장선 밑부분도 같이 실링하고 , 모든연결부분은 테이프로 보강하면 되는지요
주변에서 기밀층은 PE 필림으로 해야한다고 해서??,
질문2
그위에
벽체는 설비층2×2각목을 가로로 대고 ×9.5mm석고보드 2장

천정은 지붕층 단열보강하기 위해 가변형투습지층과 10cm간격띄우고 50mm PF보드와 석고보드9.5mm로 마감할까 하는데 습기. 관련 문제점이 없을지 문의 드립니다.
재삼 감사드립니다

Comments

2 권희범 2018.05.26 12:48
벽체든 지붕이든 내부는 가변형방습투습지로 기밀과 방습을 잡습니다.
여름 역결로를 무시한다면 pe비닐도 가능하지만 실제로 해보면 전용 제품보다 비닐이 시공이 훨씬 더 어렵습니다.

장선이 벽체 위에 얹혀 서까래와 잡고있는 구조라면
장선과 서까래가 만나는 부분은 모두 기밀테이프를 붙여주시면 됩니다.
그 부분이 손이 많이 가서, 구조상 가능하다면 장선을 벽체에 철물로 고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붕도 내화성능 확보를 위해 석고보드 두겹을 하셔야 하구요, 아직 시공 전이시라면 단열 보강은 바깥 쪽에 하시는 게 좋습니다. 내부는 벽체와 같은 구성으로 가시구요.

서까래 하부 기밀층과 내부 단열재 사이의 빈 공간을 어떻게 확보하실지는 모르겠지만 현장에서 만들어지는 빈공간은 단열에 도움이 못 됩니다.
불필요한 대류가 생길 뿐입니다.
G 홍유표 2018.05.27 08:38
권희범 선생님 답신주셔서 고맙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