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추가외단열의 열반사단열재가 내단열을 대체할 수 있을까요?

G 조가연 5 3,405 2018.05.01 16:14

안녕하세요. 최근에 이 곳을 알게되어 열심히 찾아보는 중인 건축 종사자입니다. 

관리자님, 열반사단열재가 일정 간격이상의 공기층이 없다면 효율이 없다고 이해했습니다. 

제가 참여하고 있는 목구조 프로젝트가 있는데요, 
원래 내부부터 
내부마감재+석고보드+OSB합판+기밀방습지+2X2각재/R7단열재(내단열)+ 2X6스터드/단열재(구조체)+OSB합판+투습방수지+수직띠장+수평띠장+목재사이딩 으로 단열계획을 하였는데요 

현장 목수님께서 기존에 계획되어 있던 내단열을 하지않고, 세로띠장과 가로띠장 사이에 열반사단열재(R19)를 설치하여 세로상에서 내부 소핏벤트로 연결되어 공기흐름을 주는 방법을 제안하였습니다. 이렇게 되면 세로상에서 내부 소핏벤트로 공기흐름이 가고 가로상의 폭만큼 공기층이 형성 되어 단열 효율이 좋아지는 것으로 생각하면 될까요? (참고로 목수님께서는 열반사단열재는 슈퍼R로 ins140mm와 시험성적이 동일하다고 합니다.) 

글솜씨가 좋지 않아 두서없이 여쭤봅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8.05.01 16:49
일단
"슈퍼R로 ins140mm와 시험성적이 동일"은 허구입니다.

1. 국제규정(ISO 6946)에 잘 정리가 되어져 있는 바와 같이, 움직이는 공기층이 있다면.. 그 공기층부터 외부측에 있는 모든 구성(단열재포함)은 열적 성능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목수님께서 말씀하신 방법은 하나 마나 ... 없는 것과 같습니다.

2. 그럼 처음에 제시하신 방법으로 할 경우 결과가 좋음을 보장할 수 있는가... 하면 그렇지도 않습니다. 구성이 전체를 보장해 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기밀방습지라는 것을 어떤 것을 사용하고 어떻게 시공하는지,
실내의 각재를 어떻게 대고 단열재를 어떻게 채우는지,
구조체 사이의 단열재는 어떤 것을 사용하고 어떻게 시공되는지,
외부 띠장의 두께와 종류는 무엇이고 어떻게 시공되는지
에 따라 그 결과는 천차만별이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 이어서 공사과정에서의 의문사항에 대해 지속적으로 질문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 홍도영 2018.05.01 17:38
내부마감재+석고보드+OSB합판+기밀방습지+2X2각재/R7단열재(내단열)+ 2X6스터드/단열재(구조체)+OSB합판+투습방수지+수직띠장+수평띠장+목재사이딩--------------------
에서 OSB합판+기밀방습지+2X2각재/R7단열재(내단열)의 순서가 잘못 되었습니다. 2x2각재와 단열재가 시공되는 것이라면 방습지와 기밀층은 2x2와 2x6가 만나는 곳이 합당한 위치이구요. 2x2의 위치는 설비층의 개념입니다. 즉, 방습층과 설비배관 혹은 콘센트 등과의 간섭을 줄이기 위함인데 오히려 방습층을 실내측에 설치하면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예를들어 콘센트가 설치되는 곳의 기밀층이 모두 훼손되기에 그렇습니다.

더불어 OSB와 기밀방습지가 동시에 시공이 되는데 OSB의 등급과 방습성능에 따라 기밀 방습지는 생략이 가능합니다. 하나면 될 것을 두개 설치할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건축의 그것도 목조에서의 기본원칙은 투습성능이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좋아야 합니다. 외부의 열반사 단열재는 기존의 제품처럼 투습성능이 좋지 않은 것이라면 목조구조를 상하게 하는 위험이 아주 높은 자재입니다. 사용을 절대적으로 피해야 합니다. 땀복을 입고 운동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G 조가연 2018.05.01 17:43
1번 답변으로 볼 때 세로상과 가로상 사이의 열반사단열재는 의미가 없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G 조가연 2018.05.01 17:48
홍도영선생님 답변 잘 보았습니다. 기밀층 설명 잘 이해가 됩니다.
현재 열반사단열재가 되는 상황을 간략하게 표현하면
구조체/단열재+공기층+열반사단열재+마감재 순서인데요, 이렇게 되면 중간에 공기층이 있어 목구조는 안상하지 않을까요? 저의 짧은 지식에서 나온 질문입니다...
1 홍도영 2018.05.01 18:46
그 공기층이 통기층이라면 습기로 인한 문제는 없지만 단열의 효과는 없을 것이고 통기층이 아니라면 단열의 효과는 있지만 습기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투습이 어려운 열반사 단열재는 목조에서는 무익합니다. 절대 합당한 조합이 아닙니다. 그것이 내부이건 아니면 외부이건간에...
기밀층에 대한 설명은 조가연님이 위에 쓰신 순서를 도면으로 그려보시면 그 순서 그대로...그러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