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기초하부 단열재 문의

G 이용성 5 5,395 2018.06.03 10:31

작업실 목적으로, 단층 패널 조립식 주택(?)을 지으려고 합니다.

 

면적은 대략 20평 가량으로, 구조체 로는 150T 우레탄 패널로 지을 예정입니다.

(패시브 하우스 와는 거리가 멀지만.. 일단 냉동창고 수준의 단열을......) 

 

작업실 바닥을 차량과 지게차가 밟고 다녀야 하는지라 내단열은 무리일거 같아서 바닥 단열은 포기해야 하나 고민하고 있었는데, 외단열 구조가 가능할수도 있겄구나 싶어서 문의를 드리려고 합니다.

 

b691b54eabad7b818fa03e4af08d6580_1527987974_5636.jpg

여기 웹사이트에서 기웃거린 결과, 대략적으로 이런 모양새면 기초에 대한 외단열 구조가 되는듯 한데 제가 제대로 이해 한 것인지요?

 

또한 작업실 바닥에 가해지는 하중이 구조체 포함해서 300kg 이하일때, 대략 위와같은 두께로 문제가 없을지 한번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s 

하중 계산한 내역입니다. 

바닥 면적 66m^ 에 구조체 무게가 대략적으로 3톤 가량이고, 기초 위에 주차장 모양으로 차를 빽빽하게 채운다 쳐도 대략 280kg/m^ 정도 나오더군요...
(실제 사용 하중은 저 반 정도일것 같습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8.06.04 10:58
안녕하세요.
일단 200mm 두께는 기초로써의 역할을 하기엔 역부족입니다. 지면 상태에 따른 구조계산을 해야 겠습니다만, 매트기초라면 최소한 300mm 는 되어야 합니다. 그 만큼 철근량도 늘려야 하구요.

주거의 목적일 때, 바닥에 가해지는 하중은 보통 300kg/m2으로 계산합니다. (구조체 하중 제외)

지금의 그림은 그저 개념이며, 그 측면에서 볼 때, 압출법단열재로의 외단열은 성립됩니다. 다만, 기초와 외벽이 그림처럼 만날 수는 없습니다. (누수와 열교)
그러므로, 실제 실행시에는 건축사에게 의뢰하셔서 제대로된 방식을 선택하시길 권해드립니다.
G 이용성 2018.06.04 13:14
답변 감사합니다.
개념적인 측면에서, 저렇게 단열재 위에다 시멘트 기초를 올려도 구조상 문제가 없는지 그게 궁금했거든요. 저렇게 두어도 구조상 문제가 없는건지요?
(전에는 고층 건물 건축만 보아서 그런지 저렇게 기초 놓는걸 본적이 없어서.....)

매트기초는 300mm 는 필요하다 하시니 그렇게 잡고....
외벽과 기초 만나는 부분 같은건 설계가 아니라 그냥 저 자리에 벽이 들어갈 거다 라는 '표시'용도로 그려놓은 거였습니다.
M 관리자 2018.06.04 13:23
네.. 윗글에 "압출법단열재로의 외단열은 성립됩니다."라고 말씀드린 바와 같습니다.
2 TBBlock 2018.06.04 16:42
구조 전문가는 아닙니다만.. 얼마전 카센터 하부에 단열재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문의가 있어서 답변드렸던 내용을 공유합니다.

<<공유>>
단열재는 요구하는 압축강도의 3배 이상의 강도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압축강도는 단열재가 견딜수 있는 최대한의 힘입니다.
측정은 초기 두께대비 10% 가 줄어들때의 힘 혹은 항복이 일어나는 시점에서의 힘입니다.
그래서 장기처짐을 고려한다면 3배 강도는 되어야 처짐에서 자유롭습니다.

<예시>
요구 압축강도 : 36 kN/m2
목표 압축강도 = 요구 압축강도 x  3 배= 108 kN/m2

압출법 3호 : 100 kN/m2 (KS 기준)
압출법 특호: 250 kN/m2 (KS 기준) (실제 측정결과 380 kN/m2)

참고하세요~
2 TBBlock 2018.06.04 16:44
그럴리는 없겠지만..

단열재.. (특히 압출법 보온판의 경우)
압축강도는 힘이 가해지는 방향에 따라 다릅니다.
두께방향과 두께의 수직하는 방향의 압축강도는 비교할 수 없을만큼 두께방향이 큽니다.
달걀을 생각해 보시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사용에 대한 결정은 구조기술사님께서 판단하실 거라고 봅니다만..
단열재의 두께방향으로 힘이 받도록 설치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