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석고보드 벽면 곰팡이 발생 억제 방법 문의드립니다.

G 최형욱 9 6,274 2018.05.31 07:05

안녕하십니까.

 

인터넷 검색을 통해 우연히 이곳을 알게되었습니다.

다른곳과 달리 합리적이고 신뢰성 있는 의견을 제시해주시는 분들이 계신거 같아서 글을 올립니다.

 

현재 거주중인 집에 곰팡이 발생을 방지할 적절한 보수방법을 여쭈고자 합니다.

 

저는 약 3년전에 신축한 빌라의 2층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빌라는 지상 3층 건물. 1층은 상가, 2,3층은 주택입니다.

 

건물 신축후 곧바로 이사와서 겨울을 두번 보냈습니다.

이번에 서랍장을 교체하려고 봤더니 벽체 아래쪽 부분에 곰팡이가 발생한 상태입니다.

그림에서 빨간색 표시 부분입니다.

 

서랍장은 벽과 약 7~8cm 정도 거리를 두고 배치시켜서 사용해온 상태입니다.

 

현재는 락스를 이용해서 눈으로 보이는 곰팡이는 제거한 상태입니다.

이후의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고 싶습니다. 어떤 보수 방법이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첨부한 그림 첫번째는 제가 대충 그려본 평면도입니다.

그리기툴에 한글 입력이 되지 않아 영어로 표시를 하였습니다. 베란다는 실내공간입니다.

 

그림에서 빨간색과 파란색 표시한 부분의 벽체 아래쪽으로 곰팡이가 발생합니다.

두번째 그림은 빨간색 표시한 부분의 사진입니다.

 

파란색으로 표시한 곳은 빨간색보다 상대적으로 곰팡이가 덜 발생합니다.

사진을 2개만 첨부하지 못해서, 파란색으로 표시한 부분의 사진은 첨부하지 못했습니다.

 

건물은 철근콘트리트 건물입니다. 외부는 열반사단열재로 단열을 하였다고 합니다.

내부는 석고보드+합지벽지 마감입니다.

 

질문/하자사례 게시판에서 관련된 글을 검색해보았습니다.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2616

 

관리자분께서 제시해준 보수 방법은 기존 석고보드까지 모두 철거후에, "단열재+비닐+각상+석고보드+석고보드+벽지"를 시공하는것입니다.

그러나 제 현실적인 여건상 석고보드 철거는 힘들것 같습니다.

 

기존 석고보드를 철거하지 않고, 차후 곰팡이 발생을 막을 수 있는 대안이 있을까요?

 

 

참고로 3층 집은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양해를 구하고 3층 집을 살펴보았습니다. 저희 보다 더 큰 장롱을 배치하여 사용중인데도 불구하고, 장롱 옆쪽으로 손전등으로 비춰보니 벽면이 깨끗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8.05.31 09:48
지금으로써는 가구를 다리만 있는 것으로 설치하시는 수 밖에는 없어 보입니다. 즉 등짝이 없는 가구..
윗집의 경우 건축물의 조건이 달라서가 아니라, 생활습도가 낮아서 일 겁니다.
그 낮은게 좋은 것도 아니므로, 온습도계를 구입하셔서 겨울철 실내 습도가 50% 내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개입하셔야 합니다.
G 최형욱 2018.05.31 11:09
가구 교체 및 생활습도 낮추기 이외에 구조적으로 보양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석고보드 철거를 하지 않고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M 관리자 2018.05.31 12:46
불행히도 없습니다.
무언가 조치를 취한들, 내부의 석고보드는 다시 곰팡이가 생길꺼여요.
보이는 곰파이는 제거라도 할 수 있지만, 보이지 않는 곰팡이는 더 문제가 커지니까요.
G 최형욱 2018.05.31 13:56
방금 아내가 인테리어 업체를 불렀고 현장을 보고 갔습니다.
단열벽지라고 불리는 제품을 바르라고 합니다. 두께가 40mm 라고 합니다.

단열벽지라는 것이 정확히 어떤 제품이고 어떤 성능을 내는 것인지는 저도 잘 모릅니다.
하지만 관리자분 답변으로 유추해보자면, 저희 집 상황에선 단열벽지를 사용하더라도 벽지밖으로는 곰팡이가 생기지 않거나 보이지 않을 수 있으나 석고보드에는 곰팡이가 발생한다고 봐야 된다는 말씀이시지요?
M 관리자 2018.05.31 14:50
네 그렇습니다.
그 속은 지금보다 훨씬 심각해 질 것입니다.
2 권희범 2018.05.31 23:49
이 집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공동주택도 비슷한 상황입니다.
패시브아파트님이 아파트 리모델링 하신 수준이 돼야 어느 정도 쾌적한 환경이 될 겁니다.
G 최형욱 2018.06.01 01:39
관리자분께.

벽지를 뜯어낸 김에 석고보드와 석고보드가 만나는 틈을 지금보다 기밀처리하여 보강한후, 도배를 하고 싶습니다.

이곳 홈페이지 자재정보-다용도기밀테이프에 소개된 테이프만을 부착하면 적절할까요?
아니면 틈은 실리콘 등으로 막은 후, 그 위에 기밀테이프를 추가로 부착할까요?

그리고 해당 기밀 테이프 위에 벽지 도배풀 접착이 가능한지요?
M 관리자 2018.06.01 09:00
석고보드는 완전 투습체 입니다. 그러므로 그 사이의 기밀테잎은 심리적 안정담은 줄 수 있겠지만... 불행히도 물리적으로는 의미없습니다.
3 이명래 2018.06.01 10:57
3년 전에 지은 빌라라면 아마도 외단열을 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질문자께서는 열반사 단열재를 사용했다고 하지만 제 경험상으로는...

구석에 발생된 곰팡이는 위치로 봐서는 외벽과 슬래브의 구석인 단열 우각부위로써 결로발생이 잦은 부위입니다.  물론 외단열이 되어 있다면 그렇지 않겠지만...

내부가 석고보드 위에 벽지 바감이 되어 있다면 해당 부위 석고보드 표면을 드릴로 구멍을 군데군데 뚫고 그 속으로 우레탄 폼(foam)을 분사하여 체우는 방법이 좋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아니면 석고보드를 제거 한 후, 속에 있을지도 모를 곰팡이를 깨끗히 제거한 후 새로운 석고보드를 붙인 다음 접착본드가 경화된 이후 우레탄 폼을 주입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공동주택에서도 부위별 단열 성능 차에 의해 결로나 곰팡이가 발생했을 때 우레탄 폼 주입에 의한 보수를 많이 하는데, 의외로 효과가 높다고 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