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기시공된 욕실 타일 위 방수공법 선정 문의
2 아도라 | 댓글 15
안녕하세요~^^너무 덥죠? 미처버리도록 더운거 같습니다.나홀로 집짓기 시작한지도 어느덧 두달째 접어들고 있네요~ㅋㅋㅋㅋㅋㅋ서두가 길었습니다.....저희 마을에 목조된 시공된 그리고 시공 되고 있는 주택 들이 있습니다.물론 불량시공의 온상이죠~ 이걸 모아 이렇게 집지으면 안된다를 써도 될… 더보기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강제환기
1 김승년 | 댓글 8
미세먼지 스트레스 때문에 감당을 할 수가 없어서,3월달부터 아파트에서 공기청정기를 통해서 24시간 강제환기를 하고 있는데요.이것이 패시브하우스와 여러 면에서 비슷한 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그리고 전문가 분들께 새로운 형태의 환기 주택에 대한 어떤 영감이 생겼으면 하고 올려 봅니다.1. … 더보기
웜루프 시공시 천장 단열
G 전용진 | 댓글 6
http://naver.me/58ktkd64 위에 링크 말고도 이곳 질문게시판에도 내용이 있었던것 같은데 확실히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웜루프 시공시 천정단열을 하면 왜 서까래 끝부분에 결로가 생기나요?
기초(기단부)하부 습기에 대한 궁금증..
1 무지개토끼 | 댓글 1
안녕하세요~땅만 사놓고.. 평면 레이아웃만 겨우 스케치해놓고 1년째 방치되고 있는 상태인데,이런저런 잡 생각만 드네요~지금 제가 살고 있는 집은 크롤기초거든요.. 환기구도 되어 있고.. 그래서 가끔씩 환기구 안에머리 들이밀어서 살펴보기도 합니다. 혹시나 젖어있는곳은 없는지~ 바닥 골조가… 더보기
완공된 주택에 창호 추가 설치.
G 연서네 | 댓글 2
안녕하세요. 저희는 경량목구조로 올해 집을 완공했습니다. 우선 지붕은 2중지붕 구조로 서까래-스카이텍- 각재 -osb - 방수시트 -슁글마감이구요. 외벽은 석고보드 2장- 샛기둥 - osb -스카이텍 - 쫄대 - 시멘트보드 - 벽돌타일부착 순서입니다. 최근 날씨가 더워서.. 2층은 후끈… 더보기
정화조 통기관 설치
1 샘케이 | 댓글 1
오수배관과 연결된 통기관을 설치할 경우 추가적인 통기관 (그림의 빨간색 통기관)설치가 필요한가요?
노후 주택을 리모델링하려고 합니다.
1 하나리네 | 댓글 3
안녕하세요~ 아이 셋 키우고 있는 평범한 주부입니다~아이들이 어리고 에너지가 넘쳐서 공동주택에서 사는 것이 참 어렵더라고요..월세도 만만치 않아 단독 주택을 알아보다 1973년에 지은 주택을 발견하게 되어리모델링 후 입주하려고 하는데 궁금한 것이 많습니다.아직 업체에 견적은 내지 않았고… 더보기
안녕하세요. 이전에 한번 문의 드렸던 심현철 입니다. 도면 받았습니다.
G 심현철 | 댓글 15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18027제가 이전에 문의 했었던 내용입니다.안녕하세요. 오랫만에 관리자님 과 많은 선생님들께 인사 드립니다.잘 지내셨나요? 4개월 만입니다. 저를 기억 하실지 모르겠습니다.드디어 … 더보기
노출콘크리트 상업건물(단층+루프탑) 옥상방수에 관하여 궁금합니다.
G 노출콘크리트 | 댓글 8
안녕하세요.지방에서 노출 콘크리트 건물(상업건물)을 신축 중입니다.카페영업을 목적으로 공사 중이구요. 루프탑의 디자인이 중요합니다.설계 도면상 옥상 방수는비노출 우레탄방수 /누름콘크리트/ 기계미장/ 구배/ saw Cut+코킹으로 나와있습니다.이는, 루프탑 공간의 노출콘크리트 디자인을 살… 더보기
미세먼지와 라돈에 대한 열회수환기장치(열교환기)의 의문점들.
G 바람사람나무 | 댓글 22
우연히 산별바다하늘님이 쓰신 '열회수 환기장치 성능 질문 드립니다.'라는 글을 보게 되었습니다.그런데 저와 똑같은 의문을 가지고 계신분이시더군요.그래서 그냥 댓글에만 남겨서는 안되겠다 싶은 생각이 들어 새로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산별바다하늘님의 글은 아래에 링크를 걸어두겠습니다.htt… 더보기
지하 1층 45평 환기시설 질문
G 김홍연 | 댓글 2
안녕하십니까! 지하 1층(45평)을 셀프 인테리어하고 있는 청년입니다. 지금까지 바닥과 벽, 천장 작업을 마친상태고 환기 작업 후 전기 배선 작업은 전문가님께 맡기려 하고 있습니다. 덕트 전문가님께 여쭈어 봤더니 지하라 강제 흡, 배기가 필요하여 배기와 흡기를 같은 힘으로 하여야 한다고… 더보기
S.L F.L E.L 용어 질문드립니다.
1 질문하는사람 | 댓글 2
용어혼영 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저는 주로 S.L , F.L , G.L 이 3개용어를 사용하는데주택부분 바닥은 구조체에서 마감높이까지 120다 치면 S.L+120 F.L +-0 이라 합니다.다른도면보면 E.L 쓰더라구요 그것도 대지에서 마감재높이까지 3,500 이다하면 E.L+3,500… 더보기
건물 부위별 일사특성
G 홍정민 | 댓글 1
수평면의 1일 일사량은 하지에 최대값이고, 동지에 최소값을 보이는데. 이것이 평지붕 형태의 건물이 하계에 불리하다는 것을 어떻게 알수 있죠? 그렇기에 평지붕을 건물을 설치한 건물은 지붕에 단열을 강화하라는데 .하계에 어떻게 불리하다는거죠? 일사량이 많으니깐 여름에 덥다는 것인가요? 그리… 더보기
시공사 견전 기준
1 매치니코프 | 댓글 3
시공사가 견적 내는 기준은 무엇인가요?제가 속한 IT분야는 MM이란 기준으로 견적을 냅니다.시공사는 어떤 기준으로 내는 건가요?(자재비 + 인건비)*1.2이런 식인가요?
공용주택 배관 우레탄폼 문의드립니다
G sjh | 댓글 3
아파트 화장실이랑 주방 환기구인데요 여기에 환풍기랑 전동댐퍼를 설치할려고 하는데요 다른집 냄새가 역류할까 걱정되어 전동 댐퍼달려고 하는데 나머지 부분 마감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레탄폼으로만하면 누기가 되지 싶은데요 고견 부탁드립니다
열회수환기장치 설치 기준
G 조여용 | 댓글 5
안녕하세요. 저희 테라스 아파트열회수환기장치 설치관련해서, 이것 저것 궁금한 점이 있어한국패시브건축협회 홈페이지에 오게 되었습니다. 좋은 정보들과 사례들로 많은것을 배우고있습니다. 우선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저는 거제지역 테라스 조합아파트를 분양한 사람입니다. 아래와 같이 3면이 막혀… 더보기
지하(땅속에 묻히는)의 단열재 비드법?? 압출법??
1 푸른바다 | 댓글 3
상기와 같이 지하층 흙과 닿는 곳에 비드법의 단열재를 사용하도록 현재 단열재를 붙여 놓은 상태입니다.제가 알고 있는 상식으로도 지하층에는 비드법의 단열재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지하주차장의 단열(보온) 성능을 우선과 실내 복도로 유입되는 외기의 효율적인 차단을 위하여기존의 … 더보기
PF 보드 최하층 바닥난방 두께 확인 부탁 드립니다.
G PF | 댓글 9
PF보드 업체 안내서에 의하면 중부지방최하층 바닥난방 직접외기의 경우 110T이고 간접외기의 경우 90T 입니다.저희집 설계 도서에 의하면 바닥난방이고 직접외기인데 90T로 되어 있어서 문제가 있는거 아닌가해서 질문드립니다.
주택샤시교체
2 사랑1 | 댓글 12
고향에있는 2층 25년된 주택 샤시 교체예정입니다 여기서 공부하다 막상 교체할려고 마음 먹으니 뭘 염두에 둬야할지 모르겠네요 계약서상에 표기나 신경써야할부분 조언부탁드립니다 http://www.yksys.com/qnda/view.asp?N_M=data&N_T=data_02&N_P=dat… 더보기
방바닥 몰탈 타설시 섬유보강재 질문입니다.
2 권희범 | 댓글 14
http://mitem.auction.co.kr/vip?itemNo=b546395205 방통 공사를 앞두고 있는데요, 예전에 말씀해주신 제곱미터당 250g 이상되는 보강메쉬는 가격이 많이 비싸더라구요. 섬유보강재가 가격도 싸고 시공도 간편할 것 같아서 이번에 링크의 제품을 한번 사용해보… 더보기
압출법 단열재 시공문의
1 푸른녹차 | 댓글 4
바닥 압출법 단열재 시공에 대한 문의입니다.압출법(1호) 단열재를 시공함에 있어 반듯하게 단열재를 잘라 시공함에도 완벽하게 자를 수 없어 단열재의 맞댐 부위의 3~5mm의 틈새가 발생하여 폴리우레탄 폼 1액형으로 충진하여 틈새를 메웠습니다.그리하였더니 발주처 감독관이 이 공법이 맞는 것… 더보기
콘크리트 건물 외단열 마감재 STO 대안은?
G 캐슬 | 댓글 3
콘크리트건물 외단열 마감재로 STO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STO 대안으로는 무엇이 있고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신축 바닥 크랙 관련 문의드립니다.
G 수니 | 댓글 2
바닥 크랙때문에 참 고민이 많습니다. 신축빌라인데. 기포ㅡ배관깔고(촘촘하게깔고 물넣어둠)ㅡ방통을 쳤습니다. 촘촘하게하고 물넣어두면 덜갈라진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바닥시공전에. 보일러를 가동하고나니 크랙이 가더라구요. 여기저기 많은 부분에 크랙이 보였습니다. 바닥 샌딩후에 일반빠데로 메꿈… 더보기
바닥에 PF 보드 설치
G PF | 댓글 11
최하층 바닥에(기초위) PF 보드를 설치 후 바닥난방을 할 경우 PF보드 두께가 어느정도 되어야 하나요?그리고 바닥에 PF보드를 설치해도 하중에 무방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