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목조 기초하단부 마감방법 문의드립니다

G 정정수 12 3,411 2019.09.02 15:17

문의드립니다

목조주택입니다

기초하단부가 사진과 같이 마감이 안되어있습니다

페인트, 미장스톤, 파벽돌이나 단열재붙이고 마감등..

생각하고 있는데.. 문제는 밑에서볼때 타이벡과 OSB과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서.. 단열을 떠나서..

겨울철에 난방을 하면 이부분에 결로 생기지않을까 걱정됩니다

우천시 바닥에 튄 수분이 OSB를 상하게 할것같기도하고..

외벽 결로로 레인스크린을 타고 내려온 수분이 빠져나갈수 있는

공간도 필요할것 같고..

어떻게 마감하는게 좋은방법인지.. 전문가분들께..

조언구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9.09.02 16:00
계약 도면엔 어떻게 되어 있나요?
이 결과와 도면이 같은지요?
G 나디아 2019.09.02 19:13
답변과 상관 없는, 지나치는 건축주의 잡담입니다.
몇 년 전에 완공되어 살고 있는 동네 목조주택 둘러보니, 딱 이 상태로 마감?되어있더라구요. 그 집은 투습방수지를 더 높은 위치에서 잘라 보이지는 않게 했던데...  버그스크린이 있음에도 벌레가 들어온다 하더라구요.
저희 집 설계도도 이와 같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딱히 다른 마감 요구가 없었어요. 그래서 저는 협회 자료를 공부하여 직접 기초측면 단열재 부착하며 마감했습니다.
G 정정수 2019.09.03 11:50
미장스톤으로 마감해주기로 했는데.. 딱 저상태에서  바른다고해서 일단 하지말라고했습니다  제가 질문에서 언급했던.. 방충망이나  타이벡,OSB에 대한 언급이 없어서요..  이대로 외적으로 마감만해도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G 정정수 2019.09.03 11:53
방충망을 조금 밀어올리고..타이벡도 조금 잘라서..  밑부분을 후레싱을 새로 부착해야하는지? 밑부분을 별도마감자재로 막으면 안될것같은데..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G 정정수 2019.09.03 11:55
지붕처마에 사용하는 환기자재를 적절히 재단해서 붙이는것도 괜찮은지요?
M 관리자 2019.09.04 10:25
현재의 상황입니다. (사이딩 하부의 금속마감은 표현 안함)
M 관리자 2019.09.04 10:26
다행히 외부 투습방수지가 머리를 내밀고 있어서요...
첫번째 작업은 이 기존 투습방수지를 기초에 접착을 하는 것입니다.
접착은 외부용 방수테잎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프로크리마, 유로벤트 등 여러 제품이 있습니다.)
M 관리자 2019.09.04 10:28
그 다음 기초 측면의 쇄석을 최대한 파 낸 다음.. 30mm 이상의 압출법단열재를 댑니다.
나중에 쇄석으로 다시 메울 것이므로, 전면 접착까지 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접착용 폴리우레탄폼을 얇게 발라서 임시 고정하듯이 해주시면 됩니다.
M 관리자 2019.09.04 10:29
마지막으로, 금속판 (지붕용 칼라강판도 괜찮음)을 접어서 압출법단열재를 가려 주시면 되고, 일부 하부에 단열재가 노출되어도 괜찮습니다. 나중에 쇄석을 조금 올려서 덮어 주세요.
G 정정수 2019.09.04 15:33
관리자님의 상세한 답변감사합니다
좋은하루 되십시요~

건축한 집입니다~
G 정정수 2020.04.22 15:05
관리자님 궁금한게있어 또 문의드립니다
만약 건축중에 토대방부목이 물에 젖었거나,
2단깔도리 구조목이 방통에 의해 습기가 많을경우
충분히 말리지 않았다면 1년정도늘 저렇게 열어두는게 도움이 되지는 않나요? 단열면에서는 당연히 조치를 하는게 맞는게 같은데..  단열을 포기하고 습기에 의한 나무 건조를 위해서는 외부방수테이프를 바르는게 의문이 듭니다
타이벡을 통과한 습기가 OSB에 함수율을 높인다고 가정하면 그대로 열어두는것도 도움이 될까요?
M 관리자 2020.04.22 22:49
외부 테잎은 "투습방수"테잎이어요. 그 것을 전제로 말씀드렸습니다. 일반 불투습의 부틸테잎은 당연히 안되구요.
그러므로 테잎은 하셔도 되며, 빗물에 의한 기초의 손상을 막기 위해서도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