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주택 안방 벽면 그리고 화장실 결로 현상 문의드립니다

G 이장구 12 523 01.09 19:00

안녕하세요, 2004년 지어진 다가구 4층 건물 결로 현상으로 문의드립니다. 겨울철 한파를 만나면 현상이 발생합니다. 발생되는 곳은 외벽과 맞닿은 벽체 위쪽입니다. 벽체의 방향은 동남향입니다.

 

Sketch005.jpg

 

Sketch006.jpg

 

Sketch007.jpg

 

방의 위치는 4층으로 위는 옥상입니다. 심한 순으로는 벽걸이 에어컨 쪽부터 순서대로입니다. 매년 겨울이면 락스 등으로 곰팡이 제거하기를 반복하며 지내고 있습니다. 제거하지 않으면 상태는 아주 심각해지고요. 사진은 제거 후 사진입니다. 에어컨 위쪽으로 보시면 물 자국처럼 젖어있는 선이 살짝 보입니다. 몇 해 전 상태가 많이 안 좋은 벽지를 뜯어내고 규조토 페인트를 칠해놓아 눈에 더욱 잘 띄는 장점 아닌 장점이 생겼네요..

 

KakaoTalk_20240108_114105298_03.jpg KakaoTalk_20240108_114811352.jpg

 

철근 콘크리트 건물로 벽체 두께는 약 30cm이며 창쪽은 대리석 나머지는 벽돌로 마감되어 있습니다. 하나는 해당 방과 맞닿은 옥상 사진입니다.

 

KakaoTalk_20240108_114105298_v2.jpg

 

한 가지 또 의문인 부분입니다. 천장을 직접 보진 못했으나 환기캡의 위치가 벽걸이 에어컨 위 지붕의 안쪽에 있는듯합니다. 따로 에어컨, 보일러, 주방 후드 및 환풍기 등과는 무관한 위치에 있습니다. 여기 글들을 여럿 보아 추측하면 예전 건물의 공기구멍의 용도로 만들어 놓은 듯합니다. 해당 건물의 다른 방과는 다르게 유독 이 방만 저 위치에 환기캡이 있습니다.


다른 이유가 있을 수도 있으나 벽체 온도를 재어보면 환기캡 위치와 가까울수록 온도가 낮아지고 있습니다.


1. 한 가지 해보고 싶은 것이 천장을 뜯을 수는 없으니 환기구 위치쯤에 점검 구를 만들고 폼 등으로 구멍을 막고 온도를 재어보고 겨우내를 지내며 테스트를 해볼까 하는데 해당 시도가 의미가 있을지요?


2. 건물 차원에서 비용과 효과 등을 고려하여 해볼 수 있는 다른 방법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요?

 

KakaoTalk_20240108_121132275_02.jpg

 

KakaoTalk_20240108_121132275_01.jpg

 

KakaoTalk_20240108_121132275.jpg

 

추가로, 위 사진은 화장실 환풍기인데 입주 시 인테리어를 하고 살다 겨울을 지내보니 매 겨울마다 환풍기에서 물이 떨어져 열어보니 스티로폼 등이 뜯겨있고 덕트 호스도 사이즈가 맞지 않고 체결도 되어있지 않아 그런가 하고 해당 호스를 테이프로 붙여놓았으나 증상은 동일하네요. 연결 부위 또는 덕트 호스에서 물이 맺혀 떨어지는 것으로 보아 결로인듯합니다. 떨어지는 물의 양은 한파와 비례하고 생각보다 많아 겨울이면 마른 수건을 괴어 놓고 살지만 이도 버티지 못하고 물이 환풍기 틈새로 똑똑 계속 떨어지네요. 배기관은 옥상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고 동일 층 인테리어를 하지 않은 다른 방들은 해당 증상이 없습니다.


3. 뜯겨진 스티로폼과 마감되지 않은 알루미늄 덕트 호스가 원인인 것 같은데 덕트 호스를 단열솜? 이 포함된 덕트 호스로 교체하여 잘 기밀하고 뜯겨진 스티로폼 부위를 폼 등으로 메꾸어 놓으면 효과가 있을까요? 아니면 다른 방법을 써야 할까요?


매해 겨울이면 위 두 가지 이유로 신경 쓰며 지내고 있다 어찌할까 고민하고 찾아보다 여기 사이트를 알게 되었고 문의를 남기게 되었습니다.

 

Comments

M 관리자 01.09 20:31
안녕하세요.

1. 네 큰 의미가 있습니다.
2. 자가 건물이라면 모를까 달리 적극적 해결 외에는 달리 방법은 없어 보입니다. 그저 온습계를 사다 놓으시고 겨울철 건강습도 (40% 내외)가 유지 되도록 노력을 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3. 해당 공사를 하려면 화장실 천장을 탈거 해야 할 수도 있긴 하지만, 시도할 가치는 있습니다.
다만 문제는 이 덕트가 벽과 연결되는 부위입니다. 덕트 자체는 단열덕트로 교체를 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지만 이 연결 부위는 여러모로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물론 덕트와 단열재 사이를 폼으로 충분히 채워 주면 현상이 현저히 줄겠습니다만, 상황에 따라서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기존 덕트를 철거 해봐야 알 수 있기에, 무언가 똑 부러지게 말씀을 드리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G 이장구 01.10 09:54
고민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후에 1번이 효과가 크게 없고 건물이 자가 건물일 경우 비용과 효과 등을 고려하여 해볼 수 있는 다른 방법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사진의 옥상과 창쪽 방향의 벽체 쪽 취약한 부위 또는 전체에 외단열을 할 수 있나요? 한 설비하시는 분은 방 벽 쪽에 이 보드 치면 된다고 말씀하시나 벽체 쪽 다른 방들도 포함하여 좀 더 나은 방법은 없나 고민하고 있습니다. 방법과 비용 등에 아는 바가 없어 다시 여쭙니다.

화장실은 사진상에는 호스가 테이프로 감싸져있어 보이지 않지만 옥상에서 내려온 배기관이 대략 3cm 정도 나와있습니다. 해당 배기관보다 큰 호스로 감싸고 클램프나 타이 등으로 강하게 조여서 연결하고 폼으로 채워 볼까 합니다.
M 관리자 01.10 11:27
1번은 무조건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이를 떠나서 적극적 해결은..  천장을 포함한 실내 마감을 모두 철거하고 건전한 단열공사 부터 다시 하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G 이장구 01.10 12:03
실외에서 할 수 있는 시공방법은 없는지요? 옥상 일부분과 도로를 접한 취약한 벽체 한 면 또는 일부분, 외벽에 부분 외단열이 가능한가 여쭤봅니다. 가능하다면 본 건물에는 비용과 효과를 고려해 어떤 시공법을 알아보면 좋을까요?
G 이장구 01.10 12:07
실외 시공법에 대해 재질문을 드린 이유는 여기 글들을 보다 관리자님의 부족해도 외단열이 내단열보다 효과가 좋다는 글을 보아서입니다.
M 관리자 01.10 12:19
네 당연히 외단열이 좋습니다.
다만 외단열을 하려면 외장 석재를 철거해야 하거든요. 외벽을 철거하면 창호도 교체를 해야 하는데.. 그 비용이 만만치 않아서 그랬습니다.
비용만 된다면 당연히 외단열로 해야 합니다. 지붕도 외단열을 하고요.
그게 장기적으로 건물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올려 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도 합니다.
G 이장구 01.10 12:41
답변 감사드립니다. 직접 주거하는 자가 건물입니다. 옥상 및 벽체의 일부분 외단열을 보강하는 시공법은 없는지요? 강판 등을 씌운다든지 하는 방법이 있다면 어떤 시공법을 알아보면 좋은지 문의드렸던 것입니다.
M 관리자 01.10 14:10
"일부분"의 정의를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G 이장구 01.10 17:32
네 외벽면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예로 4개 벽면 중에 결로에 취약한 한쪽 벽면 또는 위아래 기준으로는 벽면에 윗부분(4층만), 벽면 전체가 아닌 부분만도 보강이 가능한지 여쭤보았습니다. 건축 쪽은 문외한이라 질문이 이상할 수 있는 점 양해 바랍니다.
M 관리자 01.10 19:49
아닙니다. 이상하지 않습니다. 그저 생각하신 바를 여쭈어 본 것 뿐입니다.

말씀하신 부분 공사 가능합니다.
G 이장구 01.11 08:07
네 그럼 가능하다면 비용과 효과를 고려한 어떤 시공법들이 있을까요?
M 관리자 01.11 10:21
어떤 방법이라기 보다는...
부분 공사라 할지라도 최소한 외벽의 석재는 철거를 해야 합니다. 안그러면 석재 뒤편의 공기층이 있기 때문에 단열 효과를 거두기가 어렵거든요.
철거를 하고 난 후, 단열+마감의 비용은 예산에 맞추어서 하시면 되는데, 흔히 이야기하는 드라이비트라는 것이 가장 저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