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셀프 내단열 질문드립니다.

G 셀프 내단열 12 2,576 2020.05.04 17:14

곰팡이로인해 검색하던중 관리자님이 올려주신 자료, 게시글답변으로 시공전 의문해소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몇가지 문의드립니다.

1. 외벽 콘센트를 메꿔야 단열에 유리하다고 들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메꿔야할까요? (전선끝부분을 전기테이프로 막고 연질폴리우레탄폼으로 구멍내부를 채우면 될까요?)

2. 단열재이음새부분은 폴리우레탄폼+기밀테이프로 막으려는데 천장부분, 벽부분, 바닥부분도 기밀테이프로 막아야하나요? (두번째 사진 설명)

3. 창틀과 내벽의 간격이 1cm입니다. 단열재부분이 창틀보다 더 튀어나오는데 마감을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세번째 사진 설명)

4. 외벽과 이어지는 내벽은 외벽에서부터 1m만 단열재처리해도될까요?

5. 벽에 붙어있는 검은접착제를 제거안하고 단열재부착작업해도 될까요?

6. 창틀틈이 있어서 그런지 벌레사체들이 창틀에 있습니다. 창틀틈을 막으면 벌레차단에 효과있을까요? 있다면 실리콘, 기밀테이프중 뭐가 나을까요?

7. 악기용 온습도계가 좋다고 들었습니다. 가성비 온습도계 추천 부탁드립니다.

질문이 많아 죄송합니다.. 관리자님 고맙습니다.

 

 

 

 

 

 

 

858906b71ab853af1e6753c10daf2a2b_1588542166_3041.png
858906b71ab853af1e6753c10daf2a2b_1588542165_4953.jpg
858906b71ab853af1e6753c10daf2a2b_1588542165_6242.png
858906b71ab853af1e6753c10daf2a2b_1588542185_7942.png
858906b71ab853af1e6753c10daf2a2b_1588542255_6852.png
 

Comments

M 관리자 2020.05.04 17:41
1. 외벽 콘센트를 메꿔야 단열에 유리하다고 들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메꿔야할까요? (전선끝부분을 전기테이프로 막고 연질폴리우레탄폼으로 구멍내부를 채우면 될까요?)
▶ 네 그러시면 됩니다.

2. 단열재이음새부분은 폴리우레탄폼+기밀테이프로 막으려는데 천장부분, 벽부분, 바닥부분도 기밀테이프로 막아야하나요? (두번째 사진 설명)
▶ 넵 그렇습니다.

3. 창틀과 내벽의 간격이 1cm입니다. 단열재부분이 창틀보다 더 튀어나오는데 마감을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세번째 사진 설명)
▶ 얼마나 더 나오게 되나요?

4. 외벽과 이어지는 내벽은 외벽에서부터 1m만 단열재처리해도될까요?
▶ 넵

5. 벽에 붙어있는 검은접착제를 제거안하고 단열재부착작업해도 될까요?
▶ 넵

6. 창틀틈이 있어서 그런지 벌레사체들이 창틀에 있습니다. 창틀틈을 막으면 벌레차단에 효과있을까요? 있다면 실리콘, 기밀테이프중 뭐가 나을까요?
▶ 이건 물구멍이라 막으시면 안되요.. (물구멍 치고는 너무 크긴 하나. ㅠㅠ) 이런 구멍을 막는 접착식 방충망이 있습니다.
https://www.coupang.com/vp/products/18617672?itemId=74784467&vendorItemId=3124084789

7. 악기용 온습도계가 좋다고 들었습니다. 가성비 온습도계 추천 부탁드립니다.
▶ 샤오미 것을 사시면 됩니다. 가성비는 최고여요.
G 셀프 내단열 2020.05.04 19:24
답변 고맙습니다.!
3.  ▶ 얼마나 더 나오게 되나요?
ㅡ 두꺼운 단열재를 하면 10cm 튀어나오겠습니다.
마감이 어려우면 단열재 두께를 줄일 예정입니다.
단열재가 1cm라도 초과하면 무조건 튀어나오기때문에 튀어나온 상태로 마감해야할듯합니다.
M 관리자 2020.05.04 19:28
그럼 창문은 모두 구조체(골조)위에 올라가 있는 건가요?
G 셀프 내단열 2020.05.04 19:34
구조체(골조)의 이해가 부족하여 사진 첨부하였습니다. 구조체 위에 올라가있는건가요?
M 관리자 2020.05.04 22:58
그럼 최소한 하부면은 나무로 틀을 만들어서, 그 위에 집성목이든 마감을 해야 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틈새는 단열폼으로 충진을 하시구요.
M 관리자 2020.05.04 22:59
압출법단열재 위에 접착폼으로 붙여도 형태는 유지되나, 이 위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위험해 질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하중을 받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나무에 의한 열교가 생기나, 안전이 더 중요하니까요.
G 셀프 내단열 2020.05.05 00:41
고맙습니다 관리자님
복받으셔요
G 셀프 내단열 2020.05.05 05:55
관리자님. 추가문의 드립니다.
연질폴리우레탄폼을 구매하려고 검색하는데, 판매중인 우레탄폼들이 경질인지 연질인지 모르겠어요.. 보통 판매하는 힐티폼 등이 연질폴리우레탄 폼인지요? 또, 그것이 접착용 연질폴리우레탄폼인지요?
M 관리자 2020.05.05 12:59
보통 판매되는 모든 제품은 경질입니다.
연질폼은 "TIGER 소프트 난연 수성 연질폼"으로 검색을 해보셔요.
접착용은 연질이 없습니다. 모두 경질이며, 단열재를 접착하기 위한 용도는 전문 접착폼이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일반적인 "난연 우레탄폼"으로 하시면 됩니다.
G 셀프 내단열 2020.05.05 15:24
고맙습니다 !
G 셀프 내단열 2020.05.08 05:33
관리자님 외벽 콘센트를 메울때 일반적인 난연 우레탄폼(단열용)으로 매워도 되나요? 연질폼으로만 메워야하나요?
M 관리자 2020.05.08 10:22
둘 다 괜찮습니다만, 가급적 연질폼이면 좋겠습니다.
경질폼은 경화하면서 다소 수축을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