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RC역전지붕과 목구조만나는 부분의 방수처리문제

2 재섭 10 2,517 2020.06.19 17:07
역전지붕(데크마감)과 목구조가 만나는 부분의 방수처리가 너무 고민되서 여쭤봅니다.
다음과 같이 생각을 하고 있는데 이대로 하면 괜찮을지좀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번그림에서 벽면부분만 목구조이고, 하부가 RC조 입니다.
2번그림은 그 목구조와 RC가 만나는 부분을 좀 확대해서 대략 표현했습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0.06.19 17:15
네.. 열교의 문제는 남아 있지만, 역전지붕의 적용은 잘 하신 것 같습니다.

두가지만 거들자면...

1. Tyvek 도 "투습방수지"입니다.
2. 방통몰탈과 구조체가 "측면 완충재"로 분리되는 것이 여러모로 좋습니다.
3. 목조 벽체 하부와 방수작업을 먼저 하게 될텐데요. 토대목과 구조체 사이가 틈이 생길 수 밖에 없는데.. 잊지 마시고 무수축몰탈을 채워서 빈틈이 없도록 해주셔요.
4. 여름을 좀 더 편하게 나시려면, 레인스크린의 두께가 15mm 보다는 30mm 이상인 것이 더 낫긴 합니다.
2 재섭 2020.06.19 17:27
빠른답변 감사합니다~!

답변1은 바닥투습방수지와 벽면타이벡이 겹칠필요는 없다는이야기 인가요?
답변2는.... 방통몰탈이라는게 뭔지몰라서 찾아봤는데 바닥난방시 사용하는 통미장인거 같네요, 방통몰탈을 안쓰고 경량기포 콘크리트 사용예정입니다, 역시 측면완충재(단열재)를 사용하는게 좋다는 말씀으로 알아들으면 될지요?
답변3은 무수축몰탈.... 꼭 표기 해야 겠네요~ 몰랐습니다.
답변4에서는 레인스크린역활이 중공층 역활도 해서 더 멀리 띄우는게 좋다는 말씀인건지요?ㅎㅎ
2 재섭 2020.06.19 17:28
그리고 측면완충재라는게 10mm 짜리 쓰면 되는건가요?
M 관리자 2020.06.19 17:50
1. 아니어요. 겹치는 것이 맞습니다. 그저 도면에 "방습지"로 잘못 적힌 것을 언급한 것입니다.
외벽의 투습방수지가 지붕의 투습방수지보다 겉면에 오도록 겹쳐 주세요.

2. 아.. 그럼 난방용 엑셀파이프 시공을 안하시는 건가요?
측면완충재는 단열재라기 보다는 발포PP 로써, 좀 더 폭신폭신한 소재입니다. 검색해 보시면 쉽게 찾으실 수 있으셔요. 10mm 맞습니다.

4. 여름철에 그 공간이 꽤 높은 온도로 과열이 되는데요. 30mm 이상은 되어야,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이 생깁니다.
2 재섭 2020.06.19 17:57
2. 난방을 하는게 맞습니다. 경량기포 콘크리트로 채울뿐입니다.

오늘도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20.06.19 18:00
그럼 아니되어요.. 두가지 큰 이유가 있습니다.

1. 기포콘크리트로는 생활 하중에 필요한 압축강도를 내지 못합니다. 집중하중 때 균열 폭이 커질 수 있어요.
2. 기포콘크리트는 열전도율이 비교적 낮아서, 난방의 효율이 극히 좋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기포를 제외하고, 대신에 난방용 몰탈타설을 하셔야 합니다.
2 재섭 2020.06.19 19:32
아.... 그런거군요 전기판넬히팅시방서상 경량기포로 나와있길래 경량기포로 했었는데 수정이 필요하겠군요,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20.06.19 20:50
아.. 전기온돌판넬이어요?
그럼 왜 경량기포가 시방서에 적혀 있는지를 이해하셔야 하는데요.
전기판넬히팅은 바닥의 평활도가 중요합니다. 또한 히팅판넬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공간은 정식(?) 주택이라기 보다는 상가 등에서 간편한 공사를 위해 사용하므로...

일반적인 상황은...
PE필름 - 단열재 - (경량기포) - 난방용 몰탈 의 순서로 들어가는데...

경량기포콘크리트는 약간의 단열성능도 있고, 바닥의 평활도를 잡기에 용이하므로, 이 두가지 목적을 쉽게 이루기 위해, 시방서에 그렇게 적혀 있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그러나,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경량기포콘트리는 요구되는 압축강도가 나오지 않으므로, 이 것 만으로 마감을 해서는 안되나, 전기판넬히팅의 판넬이 그 압축강도를 보완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회사에 상가가 아닌 일반 주택에서 시방서대로 시공을 해도 문제가 없다는 것을 문서로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문서가 온다면, 시방서대로 시공을 하셔도 되며,
문서가 오지 않는다면, 단열재+난방용몰탈로 해야 하는데... 최소 단열재 30mm+방통몰탈50mm가 필요하므로, 높이가 가능한지를 살펴 보셔야 합니다.
그리고 바닥의 평활도가 중요하므로, 시공하시는 분에게 전기판넬이 올라간다는 것을 분명히 하시고 판넬이 시공 후 부분적으로 꿀렁거리면 안된다고 하셔야 합니다.
2 재섭 2020.06.19 23:32
혹시나 하고 들어와봤는데 이렇게 늦은시간까지 알려주시니 죄송한느낌마저 듭니다,
제가 설명할 필요가 없을줄 알고 건축물의 용도는 말씀을 안드렸었네요, 주택은 아니고 산속에서 명상등을하는 문화및 집회시설입니다.
그나저나 주택은 설계경험이 잘 없어서 전혀 고려 안해봤던 부분들을 이번기회에 알게됬네요,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20.06.19 23:42
네..
단독주택의 활하중을 300kg/m2 을 보므로, 문화 및 집회시설이라 할더라도, 식당 보다는 하중이 클 것이어요.
위에 적어 드린 적용의 원리를 이해하시면 적용하시면 되실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