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드레인보드의 원리

1 느린생각 18 8,125 2020.07.21 18:33

아래 링크를 자세히 살펴봤습니다.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334 

 

몇 가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쇄석이 배수에 좋은 이유는 쇄석과 쇄석 사이의 공간이 생기기 때문인가요?

2. 드레인보드가 배수에 효과적인 이유가 뭔가요? 단열재에 붙이는 것만으로 어떤 효과가 발생하는 건가요?

Comments

M 관리자 2020.07.21 18:42
1. 네 그렇습니다.
2. 드레인보드가 없으면 하부로 물이 빠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안그러려면 쇄석으로 다 채워야 하는데, 그게 더 비싸구요.
1 느린생각 2020.07.21 19:21
왜 드레인보드가 없으면 하부로 물이 빠지지 않는 것인가요?
M 관리자 2020.07.21 19:59
왜 드레인보드 없이 물이 빠진다고 생각을 하신 건가요?
1 느린생각 2020.07.21 21:33
드레인보드 없이 물이 빠진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데요. 드레인보드가 어떤 역할을 하길래 물이 하부로 빠지는지 궁금합니다.

단열재에 부착된 드레인보드가 공간을 만들어 하부로 물이 빠지게 도와주는 건가요?
M 관리자 2020.07.21 21:43
네 그렇습니다. 그저 공간을 생기기 때문입니다. 물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표면장력과 모세관현상에 대응하는 만큼의 공간을 만들어 주는 개념입니다.
1 느린생각 2020.07.21 21:57
이렇게 생긴 게 맞나요?

돌출부들 사이로 흙이 들어가 막히지는 않나요?

(사진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egu-interior&logNo=220956940771&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6 gklee 2020.07.21 22:15
그런데 자갈이 아니라 쇄석을 쓰는 이유가 쇄석이 자갈보다 물빠짐이 더 좋기때문인가요? 아니면 자갈을 채취하면서 강의 오염이 일어나므로 쇄석을 쓰는게 친환경이기에 쇄석을 쓰는것인가요?
M 관리자 2020.07.21 22:15
네 맞습니다. 이 돌출 부분이 단열재 쪽으로 향하게 됩니다. 편편한 면이 흙 쪽이구요.
M 관리자 2020.07.21 22:18
강자갈의 채취가 환경보호를 위해 전 지구적으로 금지되어 가고 있는 탓입니다.
6 gklee 2020.07.21 22:22
저 그림 저도 궁금한게 잡석부분과 단열재사이에 부직포 배수판이 단순히 물이 단열재에 덜 닿게하는 기능을 하는것 아닌가요? 물이 더 잘빠지게하는 기능을 하려면 배수판이 조경용이어야하고 부직포로 물이 투과되어 단열재와의 사이에 틈으로 물이 쉽게 빠질텐데 보통 쓰는 배수판은(조경용이 아닌경우) 윗분이 올리신 사진처럼 막혀있기때문에.. 그리고 맨밑의 하부 콘크리트도 그 조경용 배수판이 옆면이 감싸내려가야할것같은데 그렇지 않은 이유는 저 콘크리트는 방수일 필요가 없기때문이죠?
6 gklee 2020.07.21 22:24
즉 일종의 발수판같은정도로 낮은 레벨의 방수판역할로 시공되는것이 아닌가요?
6 gklee 2020.07.21 22:24
답변 감사합니다. 그런이유였군요.
M 관리자 2020.07.21 22:49
아.. 그렇지는 않습니다.
처음 질문 주신 느린생각님도 왜 그렇게 생각하셨느지를 이제야 이해를 했는데요..

흙속에는 물이 존재합니다.
이 물은 압력이 낮은 쪽으로 밀려서 움직이는 현상이 있습니다. (모세관현상)
특히 지하수위가 높을 때는 어차피 물에 잠겨 있지만, 지하수위가 내려갈 경우에도 흙 속에 일정 분량의 물이 존재하고, 압출법단열재가 아무리 물에 강해도 이런 흙과 직접 접하고 있으면, 이 모세관현상으로 인한 수분의 침투에 항상 괴롭게 됩니다. (단열성능 저하)

그래서 단열재 쪽으로 침투하는 물을 막고 (한 쪽면이 편편하게 막힌 제품)
침투한 물을 일정한 틈새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야 합니다. (돌출공간)

그래서, 평지붕처럼 물이 하부로 빠져 나가야 하는 곳에 사용되는 배수판과, 벽체에 사용되는 배수판은 다르게 생긴 것입니다.
기초 하부의 단열재는, 지중의 온도가 외기 온도에 비해 상당히 안정적이기에 외벽면 만큼의 단열 성능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것으로, 기초하부에 드레인보드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있다고 하더라도 외벽면 처럼 중력에 의한 물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지도 않기 때문이기도 하구요.
6 gklee 2020.07.22 00:05
그런개념이었군요. 그래서 배수판이 쇄석층 중간까지만 올라와도 되는것이구요. 침투한 습이 배출되게끔. 보면 물과 관련해서는 설계와 자연의 싸움이 특히나 치열한것같네요. 이쪽은 경제력의 한계도 고려해야하기에 내줄건 과감히 내줘야하는 전략이 필요한것이네요. 이를테면 저 잡석도 쇄석이 되면 더 좋겠으나 경제적 효율을 고려한것이겠죠. 그래도 기초의 끝선을 단열재와 맞춘 뒤 드레인보드를 기초까지 내리면 더 이상적인것은 맞나요? 아니면 무의미할까요?
1 느린생각 2020.07.22 06:31
@관리자
1. "기초하부에 드레인보드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습니다."를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기초하부라 함은 무근콘크리트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2. "드레인 보드"를 검색해서 나오는 제품은 모두 사용가능한가요? 바닥이 아닌 벽체용으로 따로 나온 제품이 있나요?
M 관리자 2020.07.22 09:17
gklee 님..
그럴 수도 있겠으나, 우리나라는 버림콘크리트 타설이 일반화 되어 있어서, 그렇게 까지 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다만 드레인보드를 휘어서 내래는 것까지는 가능합니다.

느린생각님..
1번은 위의 gklee 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습니다.
2. 벽체용을 통상 드레인보드, 지층 바닥용을 "배수판", 지붕용을 "조경용배수판"이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벽체용은 사진과 같이 모두 롤형태로 길게 말린 형태입니다.
G 임세원 2020.09.24 13:43
관리자 님 안녕하세요.  (일반인 입니다.)
두서없이 실례를 무릅쓰고 문의드립니다.
위에 언급해주신 벽체용 드레인보드, 이곳 기술자료에도 설명되어있는 롤 형태의 배수판은 어디서 구입할 수 있을지요?  지반에 노출된 기초하부에 압출단열재를 대고, 배수판을 덧데어보고자 합니다. 늘 고맙습니다.
M 관리자 2020.09.24 15:27
인터넷 쇼핑몰에서 쉽게 사실 수 있으셔요. 아래와 같은 제품입니다.
http://www.jisupan.kr/ez/mall.php?cat=046005000&query=view&no=478

오돌 도돌 돌출된 면이 단열재 쪽으로 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