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온도구배 재질문드립니다.^^

G 서동한 3 4,510 2011.11.10 09:36
온도구배를 잘읽어보았습니다.

온도변화를 구할려면 Ri x 열저항이라고 되어있는데요

여기서 Ri 값을 구할려면 이미 실내외 온도를 알고있어야되더라구여.

그런데 여기서 실내온도를 모르는 상태에서는 어떻게 구하게 되나요??

예를 들어서

30℃        단열재             실내온도

단열재의 열전도율 0.55 두께 0.1 = 열저항은 0.18  이라고 하면

외부온도  30℃       열저항 0.18          실내온도는??

이럴때 어떻게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온도구배기술자료에서는 ri값을 이용하는데 이미 실내온도를
정해야지만 되는거 같아서여....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1.11.10 09:47
실내온도는.. 유지하고자 하는 온도입니다. 즉, 몇도로 실내가 유지되길 원하는지라는 뜻이구요..
이는 실내 벽체 온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실내 공기 온도구요.
에너지해석에 있어서는 여름의 경우 26도를 사용합니다.
즉, 말씀하신 것을 계산하려면 실외 30도, 실내 26도를 기준온도로 하고, 계산을 하시면 실내 벽체온도가 계산되어 집니다.
감사합니다.
G 서동한 2011.11.10 09:54
우선 감사드립니다.^^

건축주에게 가장간편하게 설명하는방법이

THK100 EPS판넬을 썻을때와 THK100 그라스울판넬을 썻을때는 비교해서 말씀드릴려고 합니다.

이때 열저항 이런거는 건축주분께 말씀드려도 잘모르실테고 가장 쉽게 이해시키는 부분이

외기가 몇도일때 내부가 몇도입니다. 그래서 돈을 조금 더 들여서 좋은것을 써야된다고 말씀드려야됩니다.

그래서 위와 같이 질문을 드린것이구여.^^ 실내온도를 안정하고 구할수는 없는건가요??
M 관리자 2011.11.10 10:32
열의 흐름은 물과 같습니다. 서로의 높이 차를 알아야 흐르는 물의 양을 알 수 있는 것과 같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즉, 양쪽 온도를 모두 알아야 해석이 가능합니다.
윗 글에도 언급하였습니다만, 말씀하신 것이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 실내온도는 "공기"의 온도입니다. 실내 벽체 표면온도를 알고 싶다고 말씀하셨는데, "공기"의 온도가 있어야 실내벽체 표면온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제가 말씀드린 온도는 "벽체"온도가 아니라 "공기" 온도입니다.
분명 "벽체표면온도"를 구하려고 하시는 것이므로 이는 말씀하시는 것처럼 온도를 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즉, "실내측 벽의 표면온도"를 26도로 설정하다면 말씀하신 것이 맞습니다만, "실내공기온도"를 26도로 하고 "실내측 벽 표면온도"를 미지수로 구하는 것이므로 말씀하신 것과 일치되는 것입니다.

만약 온도로써 표현되는 것이 미비하다면, 비드법과 글라스울의 열전도율을 비교해서 그 만큼의 에너지손실로 표현해도 크게 무리는 없습니다, 다만 패널로 만들어지는 글라스울은 밀도가 높아서 비드법과 큰 차이를 보일 정도로 열전도율의 차이가 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선 답변을 쉽게 이해하시기 어렵게 적은 듯 하여 죄송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