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2층 단독 주택 내부 각 층간의 열분배 관련 질문

G 미기 4 1,305 2020.12.19 14:48
안녕하세요 많은 정보를 얻어 가고 있습니다.
다만... 내년쯤에 집을 지으려고 합니다.
20여평으로 2층 정도 올릴 계획이고 집은 남향으로 조금 길게 지을 계획입니다.

1층은 주방과 거실로 구성하고 2층은 방으로 구성하고자 합니다.
그런데 최근에 지은 집들을 많이 봤는데......1층과 2층의 온도 차이 때문에..문제가 많은듯 합니다.
문제는 계단실이네요 여름과 겨울을 위해서 계단 입구에 문을 달면 가장 좋겠지만...여건상 그게 힘들듯 합니다. 항상 1층과 2층을 갔다 왔다 해서 문 자체가 큰 의미가 없을듯 합니다.
가능하면 1층과 2층을 안막으려고 합니다.

전열 교환기는 2층 방 등 3군대에서 배기가 되어서 계단을 타고 내려와서 1층 주방쪽에서 흡기를 2개 정도 달아서 구성하려고 합니다. 그럼 오픈된 계단이 통로가 되지 아니할까 합니다. 하지만 이것 만으로는 공기 순환이 미미할듯 합니다.

집 내부의 공기 순환을(열 분배) 위해서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혹시 2층 천정에서 흡기를 만들어서 강제 팬을 설치후 1층 까지 보내는걸 별도로 만들어야 하는지....전열 교환기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이 역활이 커버 가능할지.  전열 교환기 만으로도 열이 한층(2층) 모이는걸 1층으로 분산 가능할지 전열 교환기는 국내 제품을 보고 있는데.... 요즘 친숙한 경동 제품이 아무래도 익숙해서 해당 제품을 설치 할까 생각 중에 있습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0.12.19 19:42
글의 성격에 맞는 게시판으로 임의 이동을 하였습니다. 널리 양해 부탁드립니다.

두가지로 나누어서 답변을 드려야 할 것 같은데요..

1. 온도 성층화(편차)가 생기는 원인은 외벽의 단열과 기밀이 부실한 탓입니다. 그러므로 꼭 패시브하우스가 아니더라도, 이 부분을 제대로 한다면 우려할 만한 온도 편차는 없을꺼여요...
그러므로 이 것과 환기설계는 전혀 무관하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공기순환은 공기만, 열은 열만으로 보시어요. 이 둘을 섞는 것은 그저 상상에 의한 설계일 뿐입니다. 
급배기는 각 층별로 이루어 지는 것이 맞습니다. 즉 2층의 공기가 1층으로 내려와서 배기가 될 수는 없습니다. (즉, 그 공기를 따라서 열이 이동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말씀드린 바와 같이 환기 자체의 성능에 집중을 하시고, 외피가 건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G 미기 2020.12.19 20:22
음...답변 감사합니다. 글 찾는데 살짝..
그런데 원룸 복층도 그렇고.. 층고가 높으면 실링팬으로 공기 순환 할 정도로 해야하는데.....
제가 생각한 부분이랑은 조금 다르네요. 어짜피 순환되는 공기도 대류 현상도 같이 해결이 가능할따 했는데.... 이 부분이 신경 안써도 된다니....살짝 고민도 됩니다.
저는 단순히...집 전체가...층고가 높으면 온도 차이가 많이 나는줄 알았는데... 집이 커다란 보온통이라면은 하부나 상부나 온도차가 별로 안난다는 말씀 이시네요.
흠..일딴..... 그럼 환기만 집중 하면 될듯 합니다. 저는..환기는 바람이 미약하니....
별도의 덕트팬을 설치 할까 까지 고민 했는데...보류해도 되겠네요.

2층에서 방 두개에서 나오고 화장실에서 빨아 당기고..
1층도..거실에서 나오고 주방에서 빨아 당기는 구조로 변경 해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20.12.19 21:22
그 정도의 숫자로는 각 개당 풍량이 너무 커서 불쾌감이 생길 확율이 아주 높습니다.
그러므로 그냥 정하지 마시고, 환기장치 시공사의 조언을 받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G 미기 2020.12.19 23:55
나중에 시공시.... 좀더 디테일 하게 물어 봐야 겠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