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새집증후군 걱정입니다.

G 그레이스 15 2,089 2020.12.29 20:45

1/9일 입주를 앞두고 있는 콘크리트 단독주택 건축주입니다.

제가 피부 관련 알레르기가 심해서 벌써부터 새집증후군이 걱정인데요.

검색을 많이 해보았으나 결정이 쉽지 않아 문의 드립니다.

특수한 공기청정기(에어캡스)를 10일간 임대해 주는 업체, 열풍기를 돌리고 가습기를 작동시켜 습식 베이크아웃을 해주는 업체, 천연물질 한번 시공으로 반영구적으로 제거 가능하다는 업체등등..

이사 전에 스스로 여러번 베이크아웃을 할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비용을 지불해서라도 하려 합니다.

저희는 패시브 인증을 신청하지는 않았으나 이지블럭 단열재를 사용했고, 독일제 열회수환기장치는 설치한 상태입니다.

가장 효과적인 제거 방법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0.12.29 20:55
환기장치 설치 후 풍량조절 및 시험 과정을 거치셨는지요? 이른바 TAB라고 하는...

그 것만 하시면 됩니다. 나머지 언급하신 모든 것이 다 무용하고 과학적 근거도 없습니다.
다만, 가능하기만 하다면..
입주 3일전, 모든 가구의 문을 열고 (서랍도 열고), 창문을 약 10mm 정도 연 상태에서 보일러를 3일 내내 연속으로 가동시키면 좋겠습니다.

그렇게 못한다면.. 입주 후 당분간은 불편하시더라도 환기장치의 풍량을 최대로 해 놓아도 됩니다.
G 나디아 2020.12.29 21:15
관리자님께서 말씀하신 3일 보일러가동이 베이크아웃이라 불리우는 방법인데, 지인들 이야기를 종합해 보면 효과가 꽤 있다고 봅니다. 지인들 모두 업체가 아닌 스스로 했고, 관리자님께서 서술한 방법으로 하셨습니다. 다만 실내온도를 30도 이상 올리라고들 하는데, (바닥뿐 아니라 벽체와 가구까지 따듯하게 데우려는 목적?) 그러려면 여름에 유리하고, 겨울에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지 않나 싶어요. 저희도 겨울에 입주했던지라 여름에 베이크아웃 하리라 마음 먹었었는데, 별 이상증세 없어서 그냥 삽니다 -_-;;

그리고 베이크아웃은 난방온수를 70도 까지 올리라고 하는데요... 정확한 온도는 모르겠고요;;

베이크아웃 이후에 난방온수온도는 40~45도 정도로 낮게 하라고.. 이곳 댓글에서 배웠습니다. 일리가 있다 싶어요. 환경호르몬/VOC 등은 높은 온도에서 더 잘 배출 되니까, 최소한 바닥에 접한 부분의 문제물질들은 낮은 온도에서 덜 배출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G 그레이스 2020.12.29 21:23
배관 작업은 다 끝났으나 기계실에 놓일 본체가아직 안왔는데 꼽기만 하면 된다고 들었어요. TAB는 꼭 챙길게요.

몇일전부터 보일러를 설정 온도 22도로 가동중이에요. 창은 틸트창으로 해놓구요. 마루 때문에 온도를 높이지는 못한다고..
입주 3일전부터는 온도를 높여도 되는지 물어 봐야 겠네요. 어느 정도의 온도가 적당할까요?
G 그레이스 2020.12.29 21:29
나디아님~ 답변 감사합니다. 참고 하겠습니다.
G 나디아 2020.12.29 21:30
근데 제가 알기론...
베이크 아웃하는 동안엔 창문 꼭꼭 닫으라 했거든요? 어떤게 맞는지... ㅜㅜ
환기장치 사장님께선 처음 2일동안엔 창문 꼭꼭 닫고, 3일 째엔 환기장치를 약으로 가동하라 하셨고요....
M 관리자 2020.12.29 21:37
네.. 정리하자면...

1. 난방온도를 30도 정도로 올려 놓고
2. 난방수의 온도 세팅을 바꿀 필요는 없습니다. 70도는 조금 위험한 온도이기도 하고요. (마감재의 변형 등등)
3. 베이크아웃 이후에 난방수 온도를 낮추어도 낮추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환기장치가 있어서요)
그러므로 난방수 세팅 값은 그냥 표준치로 두시어요.
4. 창문은 다 꼭꼭 닫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근처에 계신다면... 3~4시간에 한번씩 그 닫힌 창을 열어 줄 수 있다면, 닫는 것이 좀 더 낫습니다. (실내 온도가 더 올라갈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그럴 사정이 아니라면 집 전체에서 작은 창 기준으로 2~3개 정도면 틸트로 해놓으셔요.
G 그레이스 2020.12.29 21:58
친절하신 관리자님께 조금 더 여쭙겠습니다.

1. 그 3일간에는 열회수환기장치 off 인가요?
2. 1층 마루는 오늘 깔았지만 사정상 2층 마루는 다음주에 가능한데요. 마루 깔고 몇일쯤 지나야 30도가 가능할까요? 마루에 문제가 생길까 싶어서요.

늦은 시간에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20.12.29 22:38
1. 그러셔도 되고, 창을 닫고 "약"으로 돌리셔도 되세요.
2. 24시간 후 입니다.
1 창조와공간 2020.12.29 23:17
10월 말경 베이크아웃을 진행했었습니다

환기장치없고 일반슬라이딩 이중창이 시공된 아파트 리모델링 현장입니다

결론적으로 창을 모두 닫고 실내온도 32 ~ 34 도 정도로  6~7시간 유지후 1시간 동안 전체 창문을  개방하여 환기시키는 방법으로 3회 실시하였습니다

여기서 나름대로 신경쓴 점은
바닥재(장판)의 변형을 최대한 방지하려는 심정으로

실내온도를 목표 온도에 올리기 위해서
보일러는 난방수 온도로 설정하고 40도에서 시작하여 5시간 정도에 5도씩 올리고
50도에서 하루정도,  60도에서 하루정도 유지하고
실내온도 목표치 도달에는 난방수 온도 70도로 유지하여 진행하였습니다 
(난방수 온도를 최대로 올리고 싶었지만. .  장판 변형이 무서워서 . . . . )

결과적으로
염려한 장판 변형은 눈에 띠지 않았지만
ABS 방문 도어가 닫히지 않을 정도로 팽창하였다가
베이크아웃이 끝나고 온도를 낮추자 다시 원상복구 되었습니다
2 EZBlock 2020.12.30 12:30
해당 주택은 단열과 기밀이 일반적인 주택에 비해 높고 축열성능이 높은 집이기에.. 베이크아웃 실행 시점이 중요 합니다.
내부마감이 미장마감이라 목공사로 인한 본드사용이 상대적으로 적었을것으로 판단할 때, 새집증후군 원인물질의 배출은 아마도 신규로 제작되는 싱크대와 가구 일부일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입주 전에 관리자님 말씀대로 실행하시는것이 바람직할것으로 판단됩니다.
자칫, 입주 이후에 실시할 경우.. 높은 온도의 장시간 난방으로 인한 오버히팅이 예상되며..
또한, RC조에 미장 마감이라 축열로 인한 내부열의 배출이 어려워 쾌적성이 저해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M 관리자 2020.12.30 12:57
창조와 공간님. 감사합니다.~~
G 그레이스 2020.12.30 18:08
이지블럭 류대표님의 말씀 명심하겠습니다.
창조와 공간님의 자세한 설명도 감사하구요.
모든 분들 조언대로 잘 실행해 보겠습니다.
2 권희범 2020.12.31 00:01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20389#c_20390
G 그레이스 2020.12.31 08:53
권희범님 링크 감사합니다. 고온이 중요하군요.
M 관리자 2020.12.31 10:38
네.. 하지만 위에 언급했듯이.. 마감재의 변형도 생각해야 하므로, 온도는 너무 갑자기 높게 올리지 마시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