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내외단열 시공 자재문의

G 고영진 7 2,745 2020.12.31 11:46

안녕하세요. 예전에도 질문올렸지만 사진이 첨부되지않아서 다시 올립니다. 항상 빠르고 친절한 답변감사합니다.




2006년에 지어진 일반철골구조 2층 주택입니다.


이번에 주택을 구매하면서 전체 리모델링을 하려하는데요.


당장 들어와 살아야하기에 2층 내부 단열부터 시공하고 봄이되면 


외부단열과 1층 증축을 하려합니다.


현재 1층 불법증축(거실확장)은 철거하여 임시로 배치도대로 가벽과 창호 현관을 놓았습니다. 


단면을 보니 75미리 사이딩마감 샌드위치 판넬과 석고보드 투피로 마감되어진 상태라 단열과 소음등 너무 취악한 상태입니다.




1. 내부는 외벽쪽 1차로 아이소 핑크 70mm 폼본드 부착 기밀시공 후 위로 다루끼 각재 시공후 아이소핑크 30mm 채우고(모든틈새는 우래탄폼으로 매우 고 연결부위는 방수테잎) 후 석고보드 마감하려하고요. 적절한 방법일까요?


2. H빔 기둥이 튀어나온곳은 어떻게해야할지 고민입니다. 깨끗하게 H빔기둥과 기둥 사이만 단열재 시공해야할까요 최소한 30미리라도 덮어줘야할지 고민입니다. 기둥이 튀어나오지 않게 하고싶기는 한데 말이죠..

집안 곳곳에 기둥면이 안쪽으로 돌출되어있습니다.


3. 화장실은 판넬 위로는 플라스틱마감재?만 덮여있고요. 1층화장실은 물이 판넬 아래로  새어나가 외부에서는 사진처럼 녹이슬어있습니다.


시멘트보드 붙이고 타일작업하려는데 너무 추울것같기도 하고요 ㅠㅠ


화장실을 내단열하기에는 공간이 크지않지만 최소 30미리 아이소핑크 단열이라도 해주는게 좋을까요?




4. 또한 외부단열재는 어떠한것이 좋을지 고민입니다. (큰차량이나 크래인은 현장에 들어올수없습니다..)


사이딩판넬이라 사이딩만 철거가 불가능하여 단열재 시공을해도 틈새가 생길것 같습니다. 추천하는 단열재와 시공방법 부탁드립니다.




5.불법증축부분을 철거하니 1층과 2층사이 이러한 공간이있습니다. 천장도 판넬로 덮여있는것같고요.막연한 질문이지만.. 이공간을 증축시  어떻게 해야할지  ㅠㅠ.. 


6.나중에 거실확장 증축(앞뒤로 약1.5미터 내외)할때 목조로 시공해도 괜찮을까요? 


7.추가로 내부 판낼벽은 철거해도 h빔기둥만있으면 하중에 문제없을까요? 

1층 방1 거실 주방 화장실

2층 방1 거실 화장실

을 1층 거실 주방 화장실

2층 방2 화장실로 변경하려합니다. 기둥의 간섭은없고요



지역은 파주입니다. 혹시 설계사 소개도 받을수있는건가요?


감사합니다.

KakaoTalk_20201231_114450378_06.jpg

 

KakaoTalk_20201231_114450378.jpg

 

KakaoTalk_20201231_114450378_01.jpg

 

KakaoTalk_20201231_114450378_02.jpg

 

KakaoTalk_20201231_114450378_03.jpg

 

KakaoTalk_20201231_114450378_04.jpg

 

KakaoTalk_20201231_114450378_05.jpg

Comments

M 관리자 2021.01.01 11:17
안녕하세요..
아래 모든 답변은 현장의 상황을 제대로 이해를 하고 적은 것은 아니기에 그저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불법증축한 부분을 털어 낸 후의 사진을 보면.. 바닥의 방수턱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사진은 없기에, 일단 이 모든 것을 떠나서 바닥의 물처리(외부로 부터의 빗물)에 먼저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1. 내부는 적으신대로 하셔도 되나, 벽체와 천장의 단열재를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가 관건입니다. 이 부분은 정보가 부족하여 딱히 말씀드릴 사항은 없으나, 전기배선등과 함께 고려가 되어야 합니다.

2. H빔의 실내측에 단열재를 덧댈 것인가 아닌가는 외부판넬이 어느 정도 건전하게 시공되어져 있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외부측에서의 열교가 문제가 되지 않을 수준이라면, 안쪽에서의 단열재까지는 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다만, 바닥에서의 열교는 생길 수 밖에 없으므로.. 뒤에 다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만, 기초 측면 (사진에서 콘크리트 노출부분)에 외단열시공은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다만 그럴 경우, 외부 마감재와 단차가 생기게 되는데, 이 부분은 추후 외단열을 할 때 보완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3. 화장실은 최소한의 추가 단열이 필요해 보이고, 그 보다 방수를 어떻게 라도 보완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4. 사이딩 판넬이라는 것은.. 샌드위치판넬 자체의 외부 모양이 사이딩 모양이라는 뜻인거죠?
그럼, 외부에 목상을 대고, 연질폴리우레탄폼을 채우는 것이 최선으로 보입니다. 폴리우레탄폼을 꼭 써야 한다면.. 내부보다 외부에 사용되어야 하므로... 다른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다만, 그렇게 단열을 한 이후에 외부 마감이 까다로운데요. (폴리우레탄이 흡수율이 높아서요.) 누수에 대한 처리가 건전해야 합니다.

5. 불법증축한 공간의 증축은... 지금의 정보로 무어라 드릴 내용은 없어 보입니다. 좀 더 상세한 사진과 함께, 어떻게 증축을 하실지의 의도를 알아야 할 것 같습니다.

6. 증축은 목조로 하셔도 무방합니다.

7. 추가로 내부 판넬 벽은 철거해도 h빔기둥만 있으면 괜찮습니다. 철골프레임구조는 판넬벽을 구조체로 사용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
답변이 늦어서 죄송하며,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G 고영진 2021.01.01 20:15
휴일날 답변감사합니다. 사진이 빠진게 몇장있었네요 ㅠㅠ
1.천장도 샌드위치판넬에 석고보드 마감이라 바로 위에다 다루끼 상대고 30T 아이소핑크로 최소단열정도 해주려합니다. 바닥도 건식난방으로 덧시공해야해서 높이가...

4.외부 목상대고 연질우레탄폼 후에 외부 단열재 부착인건가요?.외부단열재는 어떤종류와 두께가 좋을까요?

추가로 샷시 재시공시 판넬 단면 위로 보강바는 어떻게 해주어야 좋을까요?
U바로 해주라고 하는데 단열에 취약하지않을까요?
개인적으로 목재가 직접 시공도 가능하고 편한데 목재로 보강바를 대줘도 될까요?
항상 친절하고 빠른답변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첨부사진은 5번 질문에대한 사진입니다.
건물 정면에서 봤을때 2층과 1층사이 공간입니다.
G 고영진 2021.01.01 20:30
건물정면 증축 부분  천장판넬 제거중 저러한 공간이 있습니다.
일단은 임시로 가벽을 세워주면서 막아줬지만
외부에서만 작업이 가능할것같아 앞부분 증축시 외단열만으로 막아줘도 문제없을까요? 어떻게든 단열제와 폼으로 최대한 막아주는게 답이겠죠....??
M 관리자 2021.01.01 21:43
1. 기존 석고보드 위에 단열을 보강하는 것은 안됩니다. 단열재 뒤 쪽에 공간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단열을 보강하려면 석고보드를 걷어 내고, 샌드위치판넬 표면에 붙여서 단열이 되어야 합니다.

4. 외부 각목을 대고 폴리우레판폼을 시공하는데, 이 폼이 단열재입니다. 즉 추가로 단열이 요구되지는 않습니다.

8. U바가 단열에 취약하고, 주변 결로의 위험이 있으나, 샌드위치판넬은 아주 큰 비용을 들이면 모를까.. 별 다른 방법이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어쩔 수 없는 부분입니다.

5. 증축의 빈 공간은 외측에서만 막아도 됩니다. 다만,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해주어야 하는데, 이게 꽤 까다로운 작업입니다. 결국 현장에서는 수명이 유한한 실리콘코킹에 의존할 수 밖에 없기에 그렇습니다.
G 고영진 2021.01.03 00:00
빠른답변 감사합니다.
콘크리트 외벽의 내단열 기술자료를 보았습니다.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2462

1.혹시 판넬벽에도 적용해도 무관할련지요

2. 판넬벽에 그라스울 50mm + 50mm시공 또는
50mm는 아이소핑크 전체 시공 후 목상대고 50mm 글라스울+방습층 시공 방법도 괜찮을까요?

3.가능하다면 방습층 후에 석고보드 시공시 볼트 구멍 정도는 하자에 영향없을까요? 대략적인 시공방법이 궁굼합니다.

3.프로클리마 방습테이프는 가격이 사악한지라 대체할수 있는 제품이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21.01.03 13:18
1. 네.. 일반론이므로, 적용하시어도 괜찮습니다.

2. 단열재를 섞어 쓰는 것보다는 (공사비 측면에서도) 하나로 통일하는 것이 좋습니다. 글라스울이 훨씬 저렴하거든요.

3. 석고보드를 시공하기 위한 나사못은 전혀 상관없습니다. 그냥 두시어도 됩니다.

4. 실내 방습용도면 아래 제품도 유효합니다.
https://www.coupang.com/vp/products/247967466?itemId=784989609&vendorItemId=4412163154
G 고영진 2021.01.03 21:30
휴일인데도 불구하고 언제나 빠른답변 감사합니다!
너무 막막했는데 셀프 리모델링에 자신감이 붙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행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