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두겁? 빗물홈 있는 것을 그렇게 부르던가요. 그리고 배수관 소음해결방법

G 닥터박 24 2,560 2021.01.28 23:47

옥상이 있는 주택입니다

 

두겁?에 있는 빗물홈이 본래 조적 밖으로 나와야하는데

 

어찌된건지 조적을 쌓으려고보니까

 

빗물홈 밖에 조적이 쌓여지게 되었습니다.. 두겁과 거의 딱 맞게 쌓게되었어요

 

빗물홈이 조적안으로 들어가버리는 바람에 마감(조적과 두겁사이)을 어떻게 하는지 물어봤더니

 

실리콘으로 마감을 한다고 합니다

 

빗물홈이 없으니 혹여나 물이 들어가면 안되니까요

 

아마 100% 실리콘은 떨어져나가겠죠 언젠가는

 

이럴 때 해결방안은 어떻게 하는게 좋겠습니까

 

추후에 실리콘이 떨어지면 거의 100%로 재시공을 할 수 없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주위 환경으로 인해 발판을 세우거나 스카이차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지금 해결하지 못하면 그냥 쭉 그렇게 살아야 할 수도 있어서요 ㅜㅜ

 

 

그리고 윗층에서 내려오는 똥배관과 하수관이 거실에 있습니다

 

아직 층간소음을 겪어보지를 못해서 얼마나 괴로운지는 모르지만

 

이것 또한 100%로 물 내려가는 소리에 고통을 겪에 될 것 같네요

 

배수관에 물이 흐르는 소리를 최소한으로 줄이거나 나지 않게하려면

 

어떤 시공을 해야 할까요?

Comments

M 관리자 2021.01.29 00:00
두겁 쪽 사진도 같이 부탁드리겠습니다
G 닥터박 2021.01.29 00:23
내일 사진 찍어서 바로 올리겠습니다.

아직 조적이 반만 쌓여져서 실??(수평수직 잡는)  같은거로 바닥까지 연결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M 관리자 2021.01.29 00:25
아 그 사진만이라도 괜찮습니다.
그리고 배관이 저소음 배관인지도 물어보세요.
G 닥터박 2021.01.29 00:44

저소음 배관인지도 확인해보겠습니다
G 닥터박 2021.01.29 13:57
두겁 부분
G 닥터박 2021.01.29 13:57
쌓고있는 조적을 위에서 찍은 사진
G 닥터박 2021.01.29 13:59
배관은 저소음 배관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제가 따로 확인할 방법은 없는거죠?
M 관리자 2021.01.29 22:36
사진 감사합니다.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이 상황에서는 무조건 금속 두겁이 조적까지를 덮어야 합니다.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즉 아래와 같습니다.
M 관리자 2021.01.29 22:40
저소음 배관은.. 높이가 있어서 잘 안보이시겠지만.. 브랜드마다 고유 기호가 있습니다.
표면에 적힌 기호를 찍어서 올려 주시면 판단해 드릴 수 있습니다.
G 닥터박 2021.01.30 01:38
답변 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파이프는 내일 다시한번 확인해보겠습니다.

두겁에 대해서 하나 더 질문인데요

저 두겁.. 옥상바닥부터 두겁의 높이가 60cm

그래서 난간을 설치를 할 예정인데

두겁위에 박으려고 한거였거든요

일전에 관리자님 영상을 봤을 때

두겁을 예쁘게 설치를 해서 빗물을 막도록 해놓았는데

거기다가 난간 피스를 뽞!! 박아서 무용지물이 되게 만든다는.. 영상요;;

어쩌면 좋습니까 ..;; 유리난간으로해서 좋은 경치를 보려고 했는데요 ㅜㅜ
M 관리자 2021.01.30 01:40
파라펫의 안쪽 사진 한장 부탁드리겠습니다.
두겁의 평지붕 쪽....
G 닥터박 2021.01.30 01:44
바닥 입니다...
G 닥터박 2021.01.30 01:45
이건 좀 더 뒤에서 찍어 놓은 사진입니다
M 관리자 2021.01.30 02:00
그럼 가능성이 있습니다.
난간을 파라펫 안 쪽에 설치하시면 뎌어요.
아래 링크 처림...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2&wr_id=729
G 닥터박 2021.01.30 02:11
크럼..이라는게 어떤 용어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금속두겁과 난간설치는 파라펫 안쪽에 설치해야한다는 점 이해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바로 위 사진에 보시면 저 부분이 엘리베이터인데

;; 저기 위에도 두겁을 해야할듯한데 저기는

두겁보다 면적이 더 넓어서요.. 저기도 금속판을 짜서 시공해야할까요;;;;;

사진에서 보이지 않는 쪽으로 벽돌이 아래에서부터 쭈욱 올라옵니다
M 관리자 2021.01.30 10:25
아.. 죄송합니다. 잠결에 적느라... 오타가... "그러면"의 오타입니다. ㅠㅠ

네.. 정면에서 보이는 두께를 의미하시는 것이라면. 그러합니다.
두겁과 조적이 만나는 틈이 외부에 노출될 수는 없습니다. 말씀하신 것 처럼 실리콘코킹 밖에 없는데... 장기적으로는 견딜 수 없는 방식입니다.
G 닥터박 2021.01.30 11:37
아하 ㅎㅎ 늦은시간까지 답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가장 높이 솓아오른 저 옥탑 지붕이 평탄한데
약 2.5평 정도 될듯한데
그 평지붕도 금속으로 감싸면서 두겁에 내려와야하겠지요?
M 관리자 2021.01.30 12:37
네.. 그렇습니다. 다만 금속지붕이라면 최소 경사가 5% 입니다.
G 닥터박 2021.01.30 13:47
질문 답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파이프관을 찍었는데.... 불안하게도
설비사장 말과는 다르게 일반용 파이프같네요;;

재시공 요청을 해야겠죠?;;
M 관리자 2021.01.30 14:13
네... 일반용 배관입니다.ㅠㅠ
G 닥터박 2021.01.30 14:52
저층에서는 저소음배관 사용안한다고
고층에서만 사용하는거라고
근시일에 만나서 설명해준다고 하시네요
소리가 안난다고 자신있게 말씀하시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파이프 교체를 하려면 내부공사 들어가기 전에 해야하는데
재시공 요청이 나을까요
M 관리자 2021.01.30 20:07
소리가 안난다고 하시면.. 계약서에 특약사항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배수 소리가 25dB 이상이면 재시공을 한다"라고 한 줄만 넣으시면 되세요.

그리고, 고층에만 시공한다는 것도 틀린 말은 아닙니다.
고층은 수직관이 길어서, 배수 소리가 꽤 크게 날 수 있거든요. 그래서 저소음관을 사용해야만 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저층에 사용을 못하는 것도 아니거든요.
그러나 서로의 이견이 있다면, 특약사항만 추가를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엄밀히, 사진처럼 단열재를 파고 들어가는 것도 단열의 결손이기 때문에.. 허용되지는 않습니다.
G 닥터박 2021.01.30 21:28
여러번의 질문에 답해주시고 진행 방향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집 좋게 마무리 지어서 사진 올릴께요 ^____^
M 관리자 2021.01.30 21:44
네 잘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여러 번의 답변을 잘 이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