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창호 유리의 열관류율 성능이 아무리 좋아도 한기를 막을수 없나요?

G 김인철 3 1,673 2021.01.31 23:23

안녕하세요.

창호 유리 열관류율에 관하여 문의 드립니다.

 

저희 집 창호는 LG 하우시스 제품으로 2등급 열관류율 1.36의 16미리 이중창입니다.

 

LG제품이라고 너무 맹신했을까요?

외부 온도 영하 11도 정도의 날씨에 실내에서 유리를 만지면 엄청 차갑습니다.

그리고 침대 머리 쪽에 창문이 있는데 우풍은 없는데 잘때 얼굴로 한기가 엄청 내려옵니다.

 

그래서 질문입니다.

 

요즘 제품들 보니 1등급에 열관류율 0.7대 제품들도 많이 나오더라구요.

열관류율 수치상으로 비교하면 얼마 차이 나지는 않지만 이런 제품들을 쓴다면

22미리 로이 이중창?

3중 로이 단창?

 

영하의 날씨에 실내에서 유리를 만져도 엄청 차갑지 않을까요??

무엇보다 위에서 말한 한기가 느껴지지 않을까요??

 

만약 아무리 성능이 좋은 창호를 설치하더라도 이부분은 어쩔수가 없다면 침대 머리쪽에는 창문을 두면 안된다는 결론이 나오는데..

Comments

G 정해갑 2021.02.01 09:28
열관류율 1.36 이중유리 이중창이고, 이중창 사이가 기밀하다면,
1/ (1/1.36 + 1/1.36) = 0.68 이 됩니다.
즉 열관류율 0.7 짜리 3중유리 단창과 성능이 비슷합니다.

기밀하게 정석대로 시공된 열관류율 0.7 3중유리 단창의 경우 실내온도와 차이가 4도 이상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한기를 느끼지 않습니다.
(정석대로 시공된 1.36 이중유리 이중창도 마찬가지 입니다)

한기가 느껴진다면.... 가능성은 기밀하지 않다, 단열간봉을 사용하지 않았다, 창호주변의 단열결손이 있다 등이 있을 것 같습니다.
M 관리자 2021.02.01 10:04
정해갑선생님 감사합니다.

기밀의 문제가 맞습니다.
질문 주신 분께서는 아래 글과 글 맨 아래에 있는 영상을 같이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6&wr_id=13
G 유영휘 2021.02.04 09:50
<외부창 내측표면온도 일부 확인 사례 /  저의  창호 결함유무 감정 자료 중 입니다. >
1 조건  : 실내측 온도 25℃, 상대습도 60%RH  /  실외기온 -15 ℃ 검토
※ 실내창측 표면온도 tx 값 산출공식
(실내표면열전달저항/창호 열전달저항)
                          ={(실내온도-적용대상부위의 실내표면온도 tx )/(실내온도-외기온도)}
  - (실내표면열전달저항/창호 열전달저항) ; 온도차이비율 (TDR)값 동일
  - 실내표면열전달저항 : 0.11(㎡·K/W)
  - 실외표면열전달저항 : 0.043(㎡·K/W)
  - 창호 열저항값[R]      : 0.699(㎡·K/W) [시험성적서]
        열관류율값[K=1/R] : 1.430 (W/(㎡·K))
  - 창호 열전달저항 : R= 0.11+0.699+0.043=0.852(㎡·K/W)
- 실내측 표면온도 값 : tx ------  (0.11/0.852)={(25℃-tx)/(25℃-(-15℃))}
    tx=19.84 ℃  : 실내 창측 표면온도
묻고자 하는 창문내부측 온도는 위 실내 창 표면온도tx와 같이 실내온도에 비해 낮습니다.
기밀이 관리자님의 첨부사항 같이 실제 극간풍 우려가 있어 더욱 온도가 낮아 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