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지붕 빗물유입 하자 발생 가능부 시공 방법 문의 드립니다

1 쑤임박 17 929 2021.02.13 12:58

 안녕하세요 

예비 건축주 입니다 

협회를 통해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최근 풀리지 않는 것이 있어 조언을 구하고자

문의 드립니다 

단차가 있는 지붕의 조인부 빗물 유입 부분을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까요?

Comments

M 관리자 2021.02.13 12:59
단차라고 하심은.. 수직 외벽에 지붕이 걸쳐져 있는 형태를 말씀하시는 것인지요?
1 쑤임박 2021.02.13 12:59
시공부
M 관리자 2021.02.13 13:01
이해 했습니다.
외벽면의 마감재 이름이 잘려서요. 외벽마감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쑤임박 2021.02.13 13:09
롱블릭 이랍니다~~^^
M 관리자 2021.02.13 13:31
알겠습니다. 그럼 죄송합니다만. 지붕의 경사를 알 수 있는 .. 올려 주신 도면의 오른쪽에서 바라본 입면도를 잘라서 올려 주시어요.
1 쑤임박 2021.02.13 13:43
말씀하신 입면입니다
M 관리자 2021.02.13 13:47
알겠습니다.
어려운 디자인 이네요.^^
저녁까지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쑤임박 2021.02.13 14:12
넵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21.02.14 13:34
답이 늦어 죄송합니다.
국내에서 시공 가능한 형식을 고민하다 보니 늦어 졌습니다.

이런 식의 외단열미장마감 수직벽과 지붕이 만나는 부위는 생각보다 절차도 복잡하고, 비용도 꽤 많이 들어갈 수 밖에 없는데요.
일단 개념적으로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올려 주신 것을 보면, 구조체 위에 방수시트가 들어 갔는데요..
정석으로는 금속마감 면 하부에 방수시트가 들어가야 합니다.
아마도 아연각관으로 통기층을 형성하고 하신 것 같은데, 통기층으로 들어가는 빗물의 양은 많지 않기에 (제주도면 좀 다른 디테일이 되어야 하지만).. 기본적인 방수층은 내수합판과 금속지붕면 사이에 들어가는 것이 맞습니다.

이 시트방수를 외벽면까지 끌고 올라가는 것이 그림의 핵심입니다.
M 관리자 2021.02.14 13:35
그래서 올려 주신 입면도 수정이 되어야 하는데요.
외벽의 타일면이 지붕까지 내려올 수 없는 디테일이기 때문입니다.

외벽면 하단의 금속면은 최소 150mm 가 요구됩니다. (지붕부터 타일면까지의 높이)
G 김쑤 2021.02.14 17:26
꼭 지붕부터 타일면까지의 높이가 필요 할까요?( 150mm )  벽면에 시트방수 200mm까지 올리고 후레싱 처리한다면 어떨까요?
M 관리자 2021.02.14 17:34
같은 의미 아닌가요?
제가 잘 이해를 못했습니다.
G 김쑤 2021.02.14 17:40
답변 감사드립니다~~~^^
답변 주신내용을 좀 수정 했어요...
이렇기 하묜 좀더 수월 하지 않을까해서요~^^
M 관리자 2021.02.14 17:56

그 경우는 빗물이 튀어서, 타일에 하자가 날 수 있거든요.  얼어서 탈락이 되는....
G 김쑤 2021.02.14 18:48
아네... 감사합니다
G 김쑤 2021.03.20 08:08
혹시  벽면 단열재 위에 시멘트보드를 대는건 어떨까요
시멘트 보드위에 바로 롱블릭 시공도 가능 할것 같은데...
M 관리자 2021.03.20 09:53
전체 벽면에 대는 것을 의미하시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