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박공지붕+평지붕조합과 태양광설비 설치 질문입니다

G 리온 6 2,512 2021.02.16 10:38


3층 상가주택을 시공하려고하는 예비 건축주입니다 


몇가지 질문이 있어서 질문드리려고 합니다 




질문 1 


 지붕을 평지붕과 경사지붕을 혼합해서 하려고하는데 이러한 방식이 드문편인가요 ? 


질문2

 지구 시행지침에 경사지붕을 권장한다 라고 적혀있는데

위성지도로 상가주택지구를 다 둘러봐도 전부 경사지붕이더라구요

말이 좋아 권장이지 사실상 경사지붕이 강제된다는건가요 ?

뭐 허가가 잘 안난다거나..?



질문3  

직접만든 3D모델링을 보시면 대충 그리긴했지만

저런식으로 건물 전면부는 다락이있는 경사지붕이고 

나머지 건물 중간과 북쪽은 평지붕으로 하려고합니다 


왜이렇게 하려고하냐면  태양광발전패널이랑 태양열 온수기 두가지를 설치하기 위함인데요 

이 두개가 지금살고있는 단독에도 설치되어있지만 제법 손이 많이가더라구요 

매번 청소해서 효율을 높여줘야되고

태양열 온수기같은경우에는 몇년마다 진공관이 깨지기도 하고 

엄청 추운날에는 파이프 부분이 동파되서 교체해주기도하고 

몇년마다 그 파이프를 감싸는 단열재도 새로 감아줘야하는등등 


경사지붕에 설치하면 올라가지를 못하니깐 태양열설비 관리를 위해서 일부 평지붕을해서 

평지붕쪽에 설치하려고하거든요 



그렇게되면 외단열인 역전지붕을 하게되면 수백킬로 (태양열온수기는 1톤이상) 

나가는 중량체가되는데  단열제위에 고정없이 설치하는방법은 너무 위험해보이는데 

plat roof big foot system 이걸로해도 태풍불면 다 날아가버릴수 있거든요 

지금단독의 태양열 온수기도 앙카로 고정된게 아니라서 태풍부니깐 몇십센치 지붕에서 움직였습니다 후덜덜;; 



3층 상가주택에서 저런게 떨어지면 난리날껀데 그래서 역전지붕방식에 태양광, 태양열 을 고정하려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 


첨부파일의 태양광 사진처럼  콘크리트평지붕을 만들때  지붕콘크리트랑 철근으로 엮고 일체되게 저렇게 네모박스같은 콘크리트 마운트?

를 만들어서 저기에다가 고정하는게 좋을까요 ? 

그리고 그 콘크리트마운트를 파라펫과같이 방수단열시공하고요  맞나요?

Comments

M 관리자 2021.02.16 15:19
안녕하세요..

질문 1 지붕을 평지붕과 경사지붕을 혼합해서 하려고하는데 이러한 방식이 드문편인가요 ?
▶ 그렇지는 않습니다. 많이들 하시는 방식이셔요.

질문 2 지구 시행지침에 경사지붕을 권장한다 라고 적혀있는데 위성지도로 상가주택지구를 다 둘러봐도 전부 경사지붕이더라구요 말이 좋아 권장이지 사실상 경사지붕이 강제된다는건가요 ?
뭐 허가가 잘 안난다거나..?
▶ 네 그럴 수 있습니다. 허가시 여러가지 제약조건을 요구할 수 있거든요.
공무원이라는 직업의 특성상 "권장"이라고 쓰고, "의무"라고 읽어야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우리나라의 독특한 감사시스템 때문에...

질문 3  직접만든 3D모델링을 보시면 대충 그리긴했지만 저런식으로 건물 전면부는 다락이있는 경사지붕이고 나머지 건물 중간과 북쪽은 평지붕으로 하려고합니다
왜이렇게 하려고하냐면  태양광발전패널이랑 태양열 온수기 두가지를 설치하기 위함인데요
이 두개가 지금살고있는 단독에도 설치되어있지만 제법 손이 많이가더라구요
매번 청소해서 효율을 높여줘야되고 태양열 온수기같은경우에는 몇년마다 진공관이 깨지기도 하고
엄청 추운날에는 파이프 부분이 동파되서 교체해주기도하고 몇년마다 그 파이프를 감싸는 단열재도 새로 감아줘야하는등등 경사지붕에 설치하면 올라가지를 못하니깐 태양열설비 관리를 위해서 일부 평지붕을해서 평지붕쪽에 설치하려고하거든요
그렇게되면 외단열인 역전지붕을 하게되면 수백킬로 (태양열온수기는 1톤이상) 나가는 중량체가되는데  단열제위에 고정없이 설치하는방법은 너무 위험해보이는데 plat roof big foot system 이걸로해도 태풍불면 다 날아가버릴수 있거든요 지금단독의 태양열 온수기도 앙카로 고정된게 아니라서 태풍부니깐 몇십센치 지붕에서 움직였습니다 후덜덜;;
▶ 올려 주신 사진도, 사각박스가 지붕 구조체와 연결된 것이 아니라, 그냥 올려 놓은 것입니다.
즉, 풍압조건을 계산해서, 그 것을 이길 수 있는 무게를 받쳐 두면 되거든요. 우리나라에서 그 계산을 하지 않았을 뿐입니다. 그러므로 "큰 발바닥형식"은 어떤 것도 다 가능합니다.
그런데, 태양광과 태양열을 모두 사용하신다고 하시는 것이 흥미로운데요. 특히 태양열의 경우, 이미 사용해 본 경험이 있으신데, 다시 선택을 하시는 것이 신기할 정도입니다.
무언가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가요?
G 리온 2021.02.16 16:24
▶ 올려 주신 사진도, 사각박스가 지붕 구조체와 연결된 것이 아니라, 그냥 올려 놓은 것입니다.
즉, 풍압조건을 계산해서, 그 것을 이길 수 있는 무게를 받쳐 두면 되거든요. 우리나라에서 그 계산을 하지 않았을 뿐입니다. 그러므로 "큰 발바닥형식"은 어떤 것도 다 가능합니다.
그런데, 태양광과 태양열을 모두 사용하신다고 하시는 것이 흥미로운데요. 특히 태양열의 경우, 이미 사용해 본 경험이 있으신데, 다시 선택을 하시는 것이 신기할 정도입니다.
무언가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가요?


- 태양열은 태양광보다 훨씬 본전치기(?)가 잘되었습니다
진공관으로 바꿔 쓰기전에는 강x태양열의 평판형 태양열로 20년 넘께 썼었는데요
1년에 보일러로 따뜻한물을 쓴날이 장마때 몇일이랑 한겨울 한파가 있었던날 몇일
말고는 아예 기름을 쓴적이 없을정도입니다
20년가까이 4인가족의 샤워뜨거운물을 태양광온수기로 다 충당해와서
최소 천만원이상은 기름값을 아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심지어 물배관 말고는 아무 고장도 안났습니다 너무 오래되서 삭아서 바꾼거에요)
사실 다시 평판형으로 시공해보고 싶은데 금액이 너무 비싸서 진공관형으로 했더니
진공관파이프가 생각보다 잘 깨지네요...

또 금전적 장점이외에도 항상 뜨거운물이 옥상물탱크안에서 대기하고있다보니
아파트보다도 뜨거운물이 더 빨리 나옵니다  가압모터 가동하고
10초이내로 바로 뜨거운물이나와서 정말 편리하거든요

기름보일러였다면 보일러 버튼누르고  물통데워질때까지 10~20분기다렸다가
가압모터작동해서 샤워를하고 가압모터 다시끄고 보일러끄고 이래야해서 정말 귀찮았거든요
그래서 그 경험이 있기에 다시 설치하려고 하는겁니다
G 리온 2021.02.16 16:30
아 질문을 다시하다보니 번거롭게해서 죄송합니다
빅풋시스템은 사실 가능하다고해도  태풍불때마다 심리적으로  불안해서 못쓸거같습니다
가슴조리면서 사는거보다 단단하게 고정하고 싶거든요 ㅎㅎ
(지금도 태풍불때마다 신경이쓰여서 도저히 가만히 못있습니다)

첨부파일의 태양광 사진처럼  빅풋 시스템이 아니라
콘크리트 박스를 지붕콘크리트랑 일체되게  철근으로 엮고
그리고 그 콘크리트마운트를 파라펫처럼 방수단열시공하면
추후 누수의 위험이 없을까요?
M 관리자 2021.02.16 16:38
그렇군요. 무척 부지런한 분이시네요.^^  그 관리가 사실 쉽지는 않는데...

구조체와 연결을 하는 방식은 안되고요. (어떻게 하든 방수층이 훼손되거든요.)
단열재 위에 또 하나의 슬라브 매트를 깐다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그리고, 그 위에 엮는 방식입니다.
"so big foot system"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G 리온 2021.02.16 18:58
답변 정말로 감사합니다 ! 그런데 역전지붕에서 배수+시공관련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질문1
https://www.youtube.com/watch?v=Yzy92FvHjWc
이동영상의  2:00분 부분의 
단열재 밑으로 스며든 빗물이 루프드레인의 중간부분으로부터 빠져나가는게 보이는데요
이런 2중배수? 루프드레인은 한국에서 쉽게 구할수가 있나요 ?

질문2
시공사를 종합건축사를 선정해서 맡겨야되는데
요즘 각종 건축후기등을 보면  시공사를 도저히 믿을수가 없습니다
규모좀 되고 상가주택좀 지어본 시공사도 각종 분쟁때문때문에 난리도아닌데...

 2중배수 루프드레인으로  단열재 하부로 스며드는 빗물이 빠져나갈수있게 시공해달라고 하면
종건시공사에서 잘 알아서 해줄까요 ?  해본적도 없을테니 날림으로 할께 뻔한데..
아니면 제가 직접 2중루프드레인을 사서 지붕시공하는날에 시공하는것을
현장 작업자한테 진상건축주 소리들으면서 같이 지켜보면서 해야될까요 ?
(보통 건축주가 대낮에 직접 현장에서 뛰어다니면서 확인하나요? )
M 관리자 2021.02.16 19:07
1. 아래 글의 맨 아래에 설명이 들어 있습니다.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3038

2. 대부분 믿을 수 없는 가격에 시공되기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그런 후기를 보신 거여요.
제대로 하는 곳도 꽤 많지만, 소비자와 연결되기가 확율적으로 어려워서 그런 것 뿐입니다.
그 회사들도 그 들만의 리그라는 소리를 종종 듣지만, 알음알음 소개로 밖에는 견적을 내지 않거든요.  협회 종건사도 3군데가 있으니.. 한번 견적을 받아 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긴장을 놓으실 수는 없고 계약서(도면,스펙북 등)을 제대로 하셔야 합니다. 도면부터가 시작이니까요.
아래 영상이 도움이 되실 수도 있습니다.
https://youtu.be/__GjfA9xtV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