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부모님 집을 위해 기초설계를 진행중에 배관 질문입니다.

1 건축발판 13 2,277 2021.02.16 08:30

일러스트.jpg

 

AFD.jpg

 

안녕하세요 이제막 건축에 발을 들여놓은 새내기입니다.

시골에 경량목구조로 부모님 집을 계획중인데 먼저 초안을 잡고있습니다.

부모님이 원하시는대로 조닝은 끝낸상태인데 오수통기관을 고려할시 토대목과 외벽으로 파이프라인이 들어가는게 안좋다고 하길래 주방쪽에 샤프트를 뒀는데요.

 

1. 화장실 1부터 화장실 2 다용도실 파이프까지 전부 저 하나의 샤프트의 오수 통기관으로 처리가 될까요?

화장실 1부터 부엌까지의 거리는 약 외벽기준으로 12미터정도 됩니다.

화장실 1은 따로 통기관을 형성해 줘야할까요.

2층은 화장실없는 간단한 다락같은 방이있는 구조입니다.

 

2. 만약 따로 통기관을 줘야한다면 어느쪽에 줘야할까요?

3. 또한 관리하기가 편하게 화장실쪽1에 온수분배기 박스(화장실1 세면대위쪽)를 만들어 뒀는데 이게 괜찮을련지 모르겠네요... 

 

공부한다고 해서 공부하고 고려해서 생각하며 짠것이지만 아직 막 발을 들여놔서 미숙한게 많아 양해를 구합니다


공부하러 자주자주오겠습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1.02.16 15:13
안녕하세요.
1. 통기관은 공기만 들어 있는 거라서요. 하나로 하셔도 괜찮습니다.
3. 세면대의 위 쪽이라는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세면대 위에 있는 거울 위치라는 의미인가요?

언제든지 질문 주시어요.
1 건축발판 2021.02.16 16:31
답변감사합니다. 제가 애매하게 설명을 해버렸군요. 평면도상 화장실 1에보시면 세면대 북측으로 박스가 있습니다. 온수분배기 박스라고 써둿긴햇지만 그림이 잘려부렸네요. 온수분배기는 하단부에 그 위는 상부장을 조립하려고 합니다. 화장실안에 온수분배기를 설치해도 방수이런 문제에서 괜찮을까요. 화장실 북측이 계단실로 하부를 보일로실로 구성했습니다 계단실 하부를 보일로실로 구성한 시공사례를 본적이있어서요 물론 계단바로 아래부분이아닌 정상 층고로 되는 부분에 보일러를 설치하려합니다.
M 관리자 2021.02.16 16:40
제가 지금도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지는 못했지만, 세면대 쪽이 건식으로 보이며, 만약 건식으로 사용하신다면, 다른 문제는 없습니다.
1 건축발판 2021.02.16 16:51
제가 도면표시와 설명을 너무 힘들게했네요 ㅠ 죄송합니다. 평면도상 좌측에 화장실하나 우측화장실 하나가 있는데 우측은 분리형 화장실이며, 질문드리고자하는 부분은 좌측 화장실입니다. 샤워시설이없고 간단하게 양변기와 세면대로만 구성했습니다. 건식은아니고 그래도 청소가 용이하게 슬라브 다운을 생각해놨습니다. 좌측화장실의 세면대북쪽으로 보시면 샤프트 같은 박스가 보이는데 북측 보일러실에서 관을 벽으로 관통시켜 화장실1 하부에다가 온수분배기를 그리고 온수분배기 위쪽으로 는 상부장을 계획했습니다.

혹시 습식화장실일 경우 문제가 되는건가요?
1 건축발판 2021.02.16 17:02
청소시만 물을 사용하고 관으로 물이닿지않게 박스로 방수처리를 하려합니다
M 관리자 2021.02.16 17:14
이해했습니다.
화장실이 슬라브 다운이라면, 오히려 안될 것 같습니다. 분배기에서 나온 많은 배관이 해당 높이를 극복하고 각 실로 넘어 가야 하는데, 실제 실행되기가 어렵습니다.
1 건축발판 2021.02.16 17:44
화장실에 난방배관을 까는걸 봐서 같은방법으로 하면될줄 알앗는데 시작되는 지점은 힘든가 보네요... 또한 저희 아파트에서도 베란다 물을쓰는 공간에 온수분배기가 설치되어있어서 비슷할줄알았는데 경량목은 다른가봅니다 토대목 아래쪽을 뚫고 배관이 지나가야할까요... 이방법은 추천안드릴꺼같아서 다른 방법을 찾아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21.02.16 18:11
네.. 배관의 숫자가 너무 많아서요. ㅠ
1 건축발판 2021.02.16 20:09
지금 집에살때는 밸브를 잠궈서 난방조절을 했는데, 그걸 생각해서 그런지 편하게 쓰려고 화장실에 넣으려고 했었습니다. 답변을 들은후 상의해서 자동온수분배기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답변감사합니다. // 한가지더 질문이 있는데 오수통기관을 제일 오른쪽 부엌쪽에 두는게아닌 주방 왼편 보조주방의 세탁기 뒤쪽에 설비층을 둬서 올리는 건 어떻나요? 세탁기보시면 뒤쪽에 틈을줘 배관라인을 잡아줄 계획을 했는데 그곳에 통기관을 주어 설비벽을 치려고 합니다. 바로 그려보니 샤프트 공간만 250mm으로 주고 혹시몰라 벽체를 50mm으로 잡아서 그려놨는데 그려지긴 합니다만..
1 건축발판 2021.02.16 20:18
첨부
M 관리자 2021.02.16 20:59
위치는 괜찮으나, 벽의 두께는 최소 120mm (마감포함)이 되어야 합니다.
1 건축발판 2021.02.16 21:18
외벽은 따로두고 설비배관만 안에서 안보이게 가리려고 2x4로 간단하게 막으려 했는데 부족하군요..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M 관리자 2021.02.16 21:53
아.. 2x4 라면, 100mm 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