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셀프 인테리어 시공 복합질문 드립니다.

G 30년벽돌집 9 1,436 2021.02.15 14:14

안녕하세요

혼자서 야매로 인테리어 시공하려는 와중에 해당 사이트를 알게되어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글을 쓰기에 앞서 많은 정보를 알려주신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어제 셀프시공 관련해서 질문글을 쓰긴 했으나 생각해보니 여쭤볼게 한두가지가 아닌것같아서 

이렇게 장문의 글을 쓰게 됐습니다.

 

유튜브로 이것저것 보면서 많이 공부했다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시공하는게 맞나?' 싶은 생각이 문뜩 들더라구요..

제가 알고있는 방법이 맞는 방법인지 확인차 질문드립니다. 

 

패기넘치게 창호시공도 혼자 해보자! 해서 발주까지 넣은 상태입니다.

시공순서는 

바닥수평몰탈-창호 시공-단열재 시공 순으로 하려고 합니다. 

글이 길어질 것 같아서 나눠서 질문 드리겠습니다..!

 

[바닥수평몰탈 시공 질문]

질문1. 기존 콘크리트 바닥이 깨져서 보일러 배관이 눈에 보여 미장을 하려는데  자동수평몰탈로 시공해도 되는지요?

질문2. 프라이머 2회칠후 5mm두께로 시공하려는데 이후 크랙이 갈 수 있을까요? 보일러 자주트는편 입니다.

질문3. 만약 자동수평몰탈로 시공이 된다면 그 위에 LG하우시스 온돌전용 데코타일로 바로 시공하려는데 생활하는데 문제가 없을지..? 그전까진 그냥 장판을 깔아놓고 생활했습니다.

 

<바닥 깨진 부분 사진>

KakaoTalk_20210215_115949675.jpg

 

[창호 시공 질문]

창호 시공할때 방법으로 보통 

고임목과 레벨기로 수평을 맞춘후, 창틀을 집어넣고 창틀과 벽사이에 우레탄폼으로 충진한 다음 사춤몰탈로 마감한다고 하는데 아래 사진과 같은 경우엔 어떻게 해야되는지 난감해서요

 

 

 

질문4. 창틀을 넣고 고임목(다루끼?)으로만 고정하는 분도 있고 나사못으로 고정하는 분도 있던데 아래같은 경우엔 어떻게 시공해야 할까요? 못을 꼭 박아야하나요? 

 

질문5. 시공하려는 공간이 조적벽 사이에 스티로폼이 있습니다..미리 깔끔하게 미장한 후에 기밀테이프를 붙히는게 좋을까요? 작업자분들께 여쭤보니 바로 창호 올려서 폼으로 충진해도 된다고 하더라구요

질문6. 사진과 같은 경우에 시공을 어찌하면 좋을지 순서대로 알려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창호 시공할 공간 사진>


KakaoTalk_20210201_134733339.jpg

 

KakaoTalk_20210201_134733339_02.jpg

 

[단열재 시공 질문]

어제 밤에 관리자분께서 알려주신대로 마그네슘 보드로 시공하려고 합니다. 

근데 관리자분께선 마그네슘보드 밑에 단열재를 추가로 시공해야한다고 하셨는데..예산도 예산이고 3.5평 남짓한 방이 더 좁아질것같아 어쩔수없이 마그네슘보드로만 시공하려고 하는데요;;ㅠ

 

질문7. 마그네슘 보드로 시공할때 창문과 만나는 면에 따로 추가 시공해야할 부분이 있을까요? 테이프라던가 기타등등이요..

질문8. 셀프로 하는지라 콘센트는 그냥 겉에 껍질만 벗겨 바꾸려는데 마그네슘 보드에 구멍만 내서 붙히기만 하면 될까요? 어떻게 마감을 해야할지 난감합니다;;

질문9. 보일러와 스위치가 있는 부분도 마찬가지로 구멍만 내서 시공하면 될까요?

질문10. 문틀도 같이 바꾸려는데 문틀과 만나는 부분은 어떻게 마감하는것이 좋을까요? 코너비드나 몰딩으로 마감하면 될까요?

 

<단열재 시공할 콘센트&보일러&스위치 자리>

KakaoTalk_20210215_124754213.jpg

 

KakaoTalk_20210215_124754213_01.jpg

 

쓰다보니 엄청난 장문의 글이 되어버렸네요ㅠ 

알아본다고 알아봤는데 혼자서 하려니 혹여나 잘못될까 무섭기도 하고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답변 주신다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1.02.15 16:54
안녕하세요.
창 만큼은 전문가를 부르시길 권해 드리고 싶은데요.
일단...

질문1. 기존 콘크리트 바닥이 깨져서 보일러 배관이 눈에 보여 미장을 하려는데  자동수평몰탈로 시공해도 되는지요?
질문2. 프라이머 2회칠후 5mm두께로 시공하려는데 이후 크랙이 갈 수 있을까요? 보일러 자주트는편 입니다.
질문3. 만약 자동수평몰탈로 시공이 된다면 그 위에 LG하우시스 온돌전용 데코타일로 바로 시공하려는데 생활하는데 문제가 없을지..? 그전까진 그냥 장판을 깔아놓고 생활했습니다.
▶ 질문 세 개에 대한 답변이 하나라서요.
자동수평몰탈은 그 최소 두께에 따라 제품이 나뉩니다. 즉, 최소 두께가 5mm 라면, 해당 제품을 사셔야 해요. 반대로 이야기하면... 해당 제품을 살 경우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러므로 마감도 의도한 것으로 하셔도 괜찮습니다.

마그네슘보드는 두께 얼마로 사실 지를 알려 주시어요.

질문4. 창틀을 넣고 고임목(다루끼?)으로만 고정하는 분도 있고 나사못으로 고정하는 분도 있던데 아래같은 경우엔 어떻게 시공해야 할까요? 못을 꼭 박아야하나요?
▶ 네 꼭 해야 합니다. 다만, 수직으로는 박을 곳이 없으므로 평철 등을 이용해야 하는데요. 그러기에 전문 시공팀이 들어와야 한다는 의미였습니다.
 
질문5. 시공하려는 공간이 조적벽 사이에 스티로폼이 있습니다..미리 깔끔하게 미장한 후에 기밀테이프를 붙이는게 좋을까요? 작업자분들께 여쭤보니 바로 창호 올려서 폼으로 충진해도 된다고 하더라구요
▶ 당연히 미리 미장이 되어야 합니다.

질문6. 사진과 같은 경우에 시공을 어찌하면 좋을지 순서대로 알려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질문7. 마그네슘 보드로 시공할때 창문과 만나는 면에 따로 추가 시공해야할 부분이 있을까요? 테이프라던가 기타등등이요..
▶ 틈새 미장 -> 창호 수평수직 고정 -> 하부 몰탈충진 -> 나머지 세 면에 단열폼 충진 -> 단열시공 -> 단열재와 창문 사이에 방습테잎 시공 - 마감입니다.
그리고, 사진에서 보이는 사선 방향의 균열 부위도 미장을 해주어야 합니다.
 
질문8. 셀프로 하는지라 콘센트는 그냥 겉에 껍질만 벗겨 바꾸려는데 마그네슘 보드에 구멍만 내서 붙이기만 하면 될까요? 어떻게 마감을 해야할지 난감합니다;;
▶ 안되고요. 아래 글의 콘센트 편을 참고하시어요.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2462

질문9. 보일러와 스위치가 있는 부분도 마찬가지로 구멍만 내서 시공하면 될까요?
▶ 외벽이면 위와 같고, 내벽이면 말씀하신대로 그냥 하시면 됩니다.

질문10. 문틀도 같이 바꾸려는데 문틀과 만나는 부분은 어떻게 마감하는것이 좋을까요? 코너비드나 몰딩으로 마감하면 될까요?
▶ 네.. 셀프로는 몰딩이 가장 편합니다.
G 30년벽돌집 2021.02.15 18:03
긴글 답변 감사합니다.. 마그네슘보드는 예산때문에 3t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말씀해주신대로 창문에 틈새미장을 미리한다면

1.평철을 검색해봤는데 밑에 사진처럼 창문틀에 똑같이 고정하고 직각으로 구부린뒤 앙카나 칼블럭을 사용해 주변 콘크리트 벽에 고정하면 될까요?
2. 창문틀 하부에는 단열폼이 아닌 몰탈충진을 해야한다고 하셨는데 평철로 고정후 바로 사춤기를 이용해 몰탈하면 된다는 말씀이신가요?
3. 수직(상하)부분만 평철로 고정하고 좌우부분은 칼블럭으로만 고정해도될까요?

첨부파일에 사진있습니다!
M 관리자 2021.02.15 18:38
3mm 라는 것이 마그네슘보드 만의 두께이므로, 단열재가 붙어진 전체 두께를 알려 주시어요.

1. 네 그렇습니다. 근데, 창문의 그 무게가 많으므로 450mm 당 하나가 들어가야 해요.
2. 넵
3. 넵
G 30년벽돌집 2021.02.15 20:03
답변 감사합니다!! 공부하면 할수록 어렵네요ㅎㅎ..말씀하신대로 시공해보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21.02.15 20:56
단열재 두께 알려 주시어요...
G 30년벽돌집 2021.02.16 02:35
헉 댓글을 이제서야 봤네요
단열재 총 두께는13t로 시공하려고 합니다. 예산이 많이 빠듯해서요
이걸로만 시공하면 너무 하나마나 일까요?ㅠ
M 관리자 2021.02.16 15:10
네. 그렇습니다. 단열재에서 하자를 피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두께는 30mm 여요. 그 이하는 그저 찬기만 가셔 줄 뿐입니다.
그리고 단열이라고 이야기를 하는 최소의 두께는 70mm 고요.
G 조창현 2021.02.16 17:01
창호만 제가 아는 선에서 말씀드릴게요. 아마 2중창이 들어갈듯 하네요. 다행인것은 내창이라 수직 수평만 잘 맞추면 크게 하자날 원인은 없습니다.
시공하기 전에 벽돌과 단열재 사이는 매꾸는게 좋습니다. 몰탈로는 조금 힘들 수 있으니 폼으로 최대한 깊숙하게 넣어 매꾸면 좋습니다.
다음으로 고정인데요. 이중창은 보강재가 들어가는 부분이 두군데 입니다. 그래서 가운데 칼블럭을 박지 않고 양 옆에 하나씩 박습니다. 사진이 조금 애매하기 한데 칼블럭이 벽돌에 들어갈듯 합니다. 하지만 칼블럭이 힘을 받아줄 곳이 없다면 보조 철물을 이용해야 하는데요. 평철은 사용이 조금 힘들것 같고 L자 브라켓을 사용하는게 더 편할겁니다. 
요즘 유투브 보면 샤시에 어떻게 구멍낼 생각을 하냐며 폼으로만 고정하는 경우도 많이 있는데요. 앵커나 칼블럭을 보강재를 관통해서 박는게 가장 튼튼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M 관리자 2021.02.16 17:16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