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셀프 단열재 시공 질문드립니다

G ㅇㅇ 5 1,187 2021.02.15 00:45
안녕하세요 셀프로 인테리어하고 있고 현재 콘크리트벽면이 보일때까지 철거는 완료한 상태입니다.

원래는 이보드+우레탄폼으로만 시공을 하려고 했으나 

관리자분께서 이보드 시공을 말리는 글이 많더라구요..

 

그나마 최선인 유기질단열재+석고보드로 시공을 하게되면

아이소핑크+방습테이프+석고보드2겹 시공이 제일 낫다는것인데 셀프로 하는지라 석고보드를 붙힐 목공시공이 힘들것같아서요. 


1. 아이소핑크위에 석고보드를 본드로 붙히거나 타카로 시공해도 무리가 없을까요?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2462 

해당글에선 가능은 하나 옳은방법은 아니라고 하셔서 마음에 걸리네요;;

 

2. 아니면 그냥 석고보드없이 마그네슘 합지보드로만 우레탄폼으로 시공하는게 비용적으로나 효율적으로 나을까요? 저 혼자서 하는지라 1번같은경우로 시공하게되면 체력적으로 힘들것같아서요..

 

3. 단열재를 부착할때 우레탐폼+우레탄본드를 같이 단열재면에 같이 뿌려서 시공을 많이 하던데, 우레탄본드와 같이 시공할경우 우레탄폼은 경질 상관없이 B2이상이면 상관이 없을까요?

Comments

M 관리자 2021.02.15 01:01
안녕하세요.
1. 타카는 안되고요. 본드는 가능하긴 합니다.
이게 왜 권장되지 않는 방법이냐면, 화재시 석고보드가 탈락될 수 있거든요.
물론 셀프로 하는 공사에 까지 강제된 법은 아니나, 우리나라 내화규정에서 석고보드의 시공은 나사못을 사용해서 고정을 하게 되어 있는지라.... 그렇습니다.
하지만, 하실 수는 있는 방법 중 하나이긴 합니다.

2. 네. 그럴 수 있습니다. 체력적으로 힘들지만 칼 이상의 공구가 있어야 해서요. 마음도 힘들어 질 수 있습니다.
마그네슘 합지보드가 그 나마 나을 것 같습니다. 다만 거기에 붙어 있는 단열재 두께가 얇으니, 별도로 단열을 추가해 주긴 하셔야 할거여요.

3. 같이 뿌리는 것은 잘못된 방식이고요. 단열폼과 접착폼은 그 용도가 다르므로..
단열재 부착은 모두 접착폼으로 해주시고.. 다 시공이 된 후에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에 2mm 이상의 틈새가 있다면, 혹은 단열재와 구조체 사이에 그와 같은 틈이 있다면, 단열폼으로 시공을 해주시면 됩니다.  둘다 B2 이상이면 되시고요.
G ㅇㅇ 2021.02.15 01:16
늦은시간까지 수고가 많으십니다 지금 답변이 달릴줄 몰랐네요..ㅎ
몇가지 더 여쭙자면
1. 마그네슘 합지보드로만 시공할경우 위에 페인트 도장을 하려고 하는데
단열재가 만나는 부분에 방습테이프를 붙이는것이 효과가 있을까요? 굳이 안그래도 된다면 바로 퍼티로 마감해도 될까요?

2. 퍼티로 마감한다면 올퍼티까진 너무 힘들것같고 줄퍼티까지만 하려는데 외부용퍼티로 하는것이 맞을까요?

3. 접착폼중에 B2이상으로 저렴하고 괜찮은 제품 추천해주실만한게 있을까요? 가격대는 개당7-8천원 이하면 괜찮을것같은데..만약 따로 찾아봐야 하는 수고가 있다면 이질문은 무시하셔도 됩니다..ㅎㅎ
M 관리자 2021.02.15 01:21
1. 마그네슘보드 위에는 바로 마감이 되어야 해서요. 방습테잎 시공이 되긴 하나 셀프로 마감면을 맞추긴 어렵습니다. 어차피 내부에 정식 단열재가 들어가야 하는데, 그 단열재의 틈새에만 붙이시면 되세요.

2. 내부용 퍼티로 하시면 되세요. 그런데 마그네슘 합지보드도 얇고 낭창낭창 하기에, 틈새에 균열이 가기 쉽습니다. 바탕 단열재에 접착을 할 때 테두리 접착을 잘해 주셔야 해요.

3. 국산 중에서 타이탄이라는 브랜드에서 B2 폼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제대로 된 B2다 아니다라는 말이 많긴 하나, 일단 믿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G ㅇㅇ 2021.02.15 01:47
답변 감사합니다. 알려주신대로 참고해서 시공해보겠습니다. 늦은시간까지 정말 감사드립니다^^
1 모지 2021.02.15 16:28
와우 저와 같은 고민을하시네요 저도 목공파트를 어떻게 처리해야 될지 고민이였거든요,,
전 일주일쯤 뒤부터 셀프철거 할 것 같은데
근황 간간히 올려주십사 합니다,,,^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