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외벽OSB의 결로 우려때문에 내부에 OSB를 설치하려 합니다.
G 안재범 | 댓글 2
안녕하세요. 단독주택 직영공사를 계획하면서 많은 정보를 얻고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참고로 전는 건축과는 무관한 비전문가입니다. OSB의 투습성능이 좋지않아서 외부에 OSB를 두르는 일반적인 목구조 시공방법이 겨울철에 벽체 내부에 결로를 만들기가 쉽다는 일본 자료를 보았습니다. 그래서 … 더보기
철근콘크리트의 축열 기능과 석고 관련 질문
G 미기 | 댓글 10
안녕하세요 자주 질문 드립니다. 콘크리트로 2층 단독 주택을 지을 계획 입니다. 매일 집사람과 서로 이야기 중이지만 무언가 조금씩 바뀌네요. 다만..기존 생각에는 RC 조로 하고..내부 마감은 석고 2py 하고 천정은 당연히 상걸고 석고 치고 마감 하려고 생각 하였습니다. 그리고 일체 … 더보기
파라펫 안쪽 난간 설치 문의
1 연암 | 댓글 1
협회 입장에선 난간 설치는 두겁은 안되고 외부 벽쪽은 법적인 문제로 안되고 파라펫 안쪽에 설치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파라펫 안쪽은 옥상의 방수가 말아 올려 파라펫까지 이어지는 중간 부분인데요. 여기에 방수 시트를 뚫고 난간을 설치해도 되나요?
자연상태의 목조주택에서 2층의 오염물질에서 최소화 방안 문의?
G 궁금이 | 댓글 3
본 게시판의 댓글에서 "보통 2층건물에서의 자연상황에서 일층은 음압이 걸리고 이층은 양압이 되면서 외부로 배출이 되기에.."라는 내용을 보았습니다. 1.1층에 미니 환기구멍등이 설치된다면(열손실은 논외) 그 구멍을 통해 음압이 형성되어있으므로 외부에 공기의 유입이 있을것이고 그 공기가 … 더보기
제품의 단열에 관하여
G 한운용 | 댓글 3
안녕하세요 단열에 관하여 의문사항이 있어 문의를 드리오니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노후 건물에 외벽을 리모델링을 할려고 외벽에 각관작업 후 합판을 붙이고 그위에 방수방습지와 40mm 열반사단열재를 시공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런데 공사과정에 단열재 시공은 하지 아니하고 방수방습지를 붙임 사진과… 더보기
베란다 역전지붕 시공방법 문의
1 강릉이래요 | 댓글 13
안녕하세요 4층주태을 건축하다보면 일조귄때문에 어쩔수없이 생기는 베란다의 바닥슬라브와 4층벽체간의 방수 및 단열 그리고치장벽돌 시공디테일이 궁금합니다. 기존에는 벽체에 단열재와 치장벽돌 시공을한후 바닥스라브는 내단열하고 노출방수로 마감을하다보니 잦은 누수와 열교에의한 단열문제가 있는거같… 더보기
감사합니다. 전열교환기 사진 올립니다.
G 고정민 | 댓글 1
비밀글입니다.
90도가 아닌 둔각의 콘크리트 벽체의 외단열
G 미기 | 댓글 2
콘크리트 구조로 집을 지을려고 생각 중입니다. 다만 얼마전 환기 문제로 질문 드린적이 있는데 그때 사용했던 집 외부에서 외부는 크게 변경 없이 내부 구성만 변경 구상하는 중입니다. 다만...땅 구조 문제로 한쪽 코너가 90도 직각이 아닌 둔각 처리된 부분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 부분을 … 더보기
냉각탑 소음
G 김채은 | 댓글 1
주상복합 아파트입니다. 직교류식 냉각탑, 용량 250crt, 크기가 5000*2400 2대가 거주하는 아파트 측면에 놓여지게 되었습니다. 업체에 문의해보니 소음저감대책으로 냉각탑 흡입측, 토출측에 소음기를 설치하고 흡입측에 소음챔버 설치 예정이라고 합니다. 위치는 아파트 측면에 바로 붙… 더보기
아파트 샷시 교체 시공시 방수처리
G 조창현 | 댓글 7
안녕하세요. 저는창호 관련일을 하고 있습니다. 주로 아파트 리모델링시 샷시교체죠. 유튜브의 건축의 악 시리즈를 즐겨보다 이 홈페이지도 알게 되었습니다. 제가 느끼기에 건축의 악은 신축보다 리모델링시 더 많은것 같습니다. 명확한 기준도 없고 시공자마다 말도 다 다르고... 아직도주거개선이… 더보기
24B-2 타입은?
G 오사라 | 댓글 4
24B-2 타입은 씨즌2 개요에는 있었는데 24A-2 24C-3 만 남아있고 24B-2 디자인은 없어진건가요? 홈페이지를 다 못봐서 그런것 같습니다만 표준주택 개별 디자인에는 없네요
시공문의 방법
G 오사라 | 댓글 4
비밀글입니다.
경량목구조 방습층 관련 문의
G 나비르 | 댓글 5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31873#c_31954 에서는 방습층이 꼭 필요해서 가변형방습지를 권장하고 PE라도 해야한다고 이야기 하시는데요. 실제 설계 기준에서 위법이라고 이야기 하는 부분을 살펴보면 htt… 더보기
현관 신발장 바닥 타일 젖음 현상번짐
G 돌핀 | 댓글 4
(위 사진 5일전 아래사진 오늘 입니다) 사진상 보시다시피 타일 젖은 공간이 아주 조금씩 확연히 번지고 있습니다 저희집은 1.5층(아래 필로티 주차장)입니다 며칠전 집 바닥 온수관이 통으로 얼었던 적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집 구석쪽 베란다에서 누수가 발생해 수리한지 딱 11일정도 됐고 … 더보기
패시브 하우스의 창호 선택
1 연암 | 댓글 15
동영상을 보니 기밀이 되지 않은 곳의 습기가 모여 창호와 같은 곳에 결로를 만든다는 부분을 봤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벽체의 열관류율 0.15를 만족하고 완벽한 기밀까지 확보한다면 열관류율이 1이하인 시스템 창호를 사용해도 무방한지요? 2. 기밀이 되지 않은 곳에서 생기는 … 더보기
역전지붕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G superchoi | 댓글 9
건축설계를 하는 설계자 입니다.기술자료의 역전지붕을 설계에 적용을 하려고 합니다.1. 역전지붕 구성을 아래와 같이 해도 괜찮을까요 ?----페데스탈 100 (20T화강석)----무근콘크리트100----XPS 150----XPS 120----복합방수시트----콘크리트 구조체2. 모서리 단… 더보기
철근 콘크리트 주택 박공지붕 양단열 징크마감...
G 솔아범 | 댓글 6
수고 많으십니다. 3월 착공 예정으로 단독주택 2층을 설계진행중인 에비건축주 입니. 그간 협회 자료로 공부하여 여러가지로 큰 도움 받았기에 감사드립니다. 철콘 2층 박공 지붕의 마감을 징크로 하고저 합니다만 지붕도 양단열을 하고저 하며 내,외 단열재를 압출법 또는 비드법으로 했을때 구조… 더보기
전열교환기설치관련 질문입니다.
G 권오복 | 댓글 2
전열교환기를 지금살고있는집에 설치하고싶은데 설치가 가능한지 궁금해서 질문드려요. 일산쪽에있는 2002년에 건축한 20년된아파트입니다. 오래된 아파트에도 설치가 가능할까요?? 전열교환기를 설치하면 밖으로 구멍이있어야하는걸로 알고있는데 주변에 아무리 찾아봐도 구멍은 없는거같아서요. 설치를 … 더보기
목조 패시브주택의 수량산출은 어떻게 해야하는지요?
G 패시브하우스를찾아서 | 댓글 6
항상 많은 자료와 정보를 얻고있어 먼저 감사드립니다. 목조 패시브주택의 설계를 마치고 시공 업체의 견적을 받기위해서 수량산출 작업을 하려고 하는데 일반 적산업체에서 목조 패시브주택의 적산작업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혹시 협회 정회원사 중에 적산작업이 가능한 업체가 있는지요?
원룸 60hz 소음 문의..
G 웅웅웅으 | 댓글 26
1층 1세대 2~3층 세입자 4층 주인집 원룸건물입니다... 전 3층 입닌다 엘리베이터는 따로 없어요 단면 가져오는법을 몰라서 그렸어요 ㅠㅠ - 거의 없는 세상 조용할 땐 아래 첫번쨰 사진대로 입니다. - 1 2 번 구역(침대,책상) 에 있다보면 60hz 소음이 아래 세번쨰 사진과 같이… 더보기
경량철골조 벽체구성에 대하여
1 솜사탕 | 댓글 0
안녕하세요 양양에 전원주택(약25평) 신축 예정자입니다 경량철골 구조 방식으로 건축 예정입니다 "첨부파일 2부" 검토 해보시고 조언을 듣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리얼징크(칼라강판) 멤브레인 설치
1 완이 | 댓글 13
항상 빠르고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지붕 리얼징크(칼라강판)을 쒸울 경우 방수시트 위에 멤브레인을 꼭 설치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티탄징크에는 꼭필요하나 리얼징크에는 더 안좋다고 하시는분들이 계셔서 궁금합니다. 그리고 공부하다보니 벽체 환기층과 지붕 환기층은 구분되는게 좋다고 하는데… 더보기
기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열회수 환기장치 설치
G 박영호 | 댓글 1
매번 질문에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벽체와 창호는 기밀한 상태이고 천정과 지붕은 기밀 시공이 안된 상태입니다. 콜드루프 방식이고요. 이 방식대로라면 열회수 장치를 설치 가동 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전기 공사 기밀방법
G 김혜화 | 댓글 12
신축공사시에 콘센트나 스위치박스도 기밀 시공을하여야하는지요? 해야한다면 방법이 궁금합니다. 외벽에 위치한것만해도 되는것인지 안쪽에 폼같은걸 사용해도 되는지도요? 정확한 방법이나 대안들이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