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고많으십니다
피코네 유튜브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저는 캐드를 좀할줄 알아서 전원주택을 직접설계하고 직접지을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단면도에 외단열로 설계했는데 보시고 문제점 지적해주시면 큰 도움이 되겠습니다
한가지 더 질문은 단열재를 찾다가 미트하임업체를 봤는데 외벽투습구멍 , 끼움시공 , 기초단열재등
외단열시공에 적합한것 같은데 eps라 업체홈페이지에 습기에 문제가 없다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xps보다 습기에 약하다고 하는데 문제가 될수 있는지 조언해 주시며 감사드리겠습니다
혹시 착공이 언제쯤 남아 있는 상태인가요?
말씀드릴 내용이 너무 많아서요..
유튜브에 앞으로 올라갈 목구조 편을 보시고 한번 정리를 다시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결로만 말씀드리면 지금 올려 주신 구성은 불가능한 구성입니다.
외벽단열이나 기초단열은 목구조와 상관없으니 천정외단열관련 목구조가 문제인것 같은데
천정위 스터드구조목사이로 단열재를 컷팅해서 설치계획입니다
벽체 레이어, 천장 내단열 레이어, 천장 외부마감 레이어까지... 문제가 너무 많아 보입니다.
목조주택 외단열은 방법이 없나보네요?
미트하임 투습 기능이 있는 단열재의 투습 시험성적서와 장기 흡수율,함수율 데이터가 있지 않는 이상 해당 기능이 유의미한지 잘 모르겠습니다.
결로는 투습기능 외단열로 해결될것같고...
1. 독서실이 겨울에 건조한 것은 독서실이라서 그렇습니다. 실내에 가습요인이 인체수분 밖에는 없거든요. 주택은 빨래/요리/샤워 등 충분한 습기가 있어서, 한옥처럼 누기량이 상상을 초월하는 경우가 아니면 오히려 건조해 지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한옥은 결로와 곰팡이가 없는 것이거든요. 오히려 개량한옥에서 발생을 하고요.
2. 인간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겨울 습도는 50% 내외 입니다. 즉 만약 가습요인이 상대적으로 적은 집도, 건강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으로 습도를 50%까지 올려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주거시설은 단열재의 실내측에 방습층이 있어야 합니다.
습도와 관련된 것은 아래 영상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https://youtu.be/twDbh8fbVeI
겨울철 표준조건 (20도, 50%)에서 ...
지역이 어디신지 모르겠으나, 경기 남부라고 할 때 겨울철 석달의 평균 외기온도를 산정하여 계산하면, 외벽을 관통하여 나가는 수증기의 양은 시간당, 제곱미터당 약 0.2~0.9g 정도입니다.
0.2~0.9g x 하루 24시간 x 한달 30일 x 석달 = 432 ~1,944 g
즉, 한 해 겨울동안 외벽에서 응축될 수 있는 물의 양이 제곱미터당 0.5~1.5kg 이고, 비록 젖은 단열재가 봄이 되면 마르는 과정을 매년 반복하기는 하나, 장기적으로 구조체를 손상시키고 남는 양입니다. 물론 그 전에 젖은 단열재 때문에 추워지고요.
이 계산은 협회 홈페이지 상단의 계산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산출하실 수 있으세요.
http://www.phiko.kr/u_calc/phiko_permconv.php
습기 자체는 구조체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그 습기가 구조체 내부로 들어가서 차가운 외벽의 OSB와 만나, 결로현상으로 인해 물로 변하는 것이 문제를 야기합니다.
그래서 단열재의 실내측에 방습층을 두어야 하며, 이는 선택의 여지가 없기에 법으로 정해진 것입니다.
즉, 실내측으로 부터
석고보드 두겹 - 2x6 (중단열제외) - ZIP보드 - 불투습 EPS 단열재 - 스타코 마감
입니다.
그런 구성으로 지어진 집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만 이런 구성의 경험이 없는 시공사라면 실내 습기에 의한 문제보다, 빗물의 유입이라는 더 큰 문제가 발생하는 구성이므로 유의하셔야 합니다.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2&wr_id=854
투습외단열이 성립을 하려면, 실내측에 방습층이 있어야 합니다.
2)16년쯤 피코네 댓글중 미트하임 에어폴이 투습외단열로 최선책이라는 걸봤는데 지금 생각이 바뀐 이유가 있는지요?
3) 전라도쪽에 계획하고 있는데 이지역도 내부 방습층이 없을경우 문제가 클까요?
항상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이 말을 좀 더 풀어서 하자면...
"실내측에 가변형 방습층이 있다는 전제로, 외부에 무기질단열재가 최선이나, 비용절감형 목구조를 목표로 할 때, 무기질단열재의 외단열은 그 비용이 많이 올라갈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에, 투습형 EPS 단열재를 사용하는 것이 목표를 이루는데 최선이다."
의 의미였습니다. 그러므로 실내측에 방습층을 형성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전라도도 구성은 같습니다.
욕실도 일방향가변형방습지를 사용하시면 되세요.
그리고, 최근 저희 협회 회원사가 외단열을 암면으로 한 사례가 있는데, 이 것도 참고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youtu.be/1GBfGgW1JHg
물성값만 가지고 시뮬레이션을 해보면 레인스크린없이도 가능하다는 결과가 나옵니다.
다만 건축이라는 것이 보수적일 수 밖에 없는 것이.. 앞선 사례의 경험과 결과를 반영한 판단을 해야 하기 때문인데요. 투습EPS와 목구조가 접합된 방식으로 구축된 사례와 경험이 미천 합니다.
사례도 없지만, 그 결과가 리포트 된 적은 아예 없어서요.
오로지 논리의 흐름을 따라갈 수 밖에 없는데, 외벽 외에도, 개구부의 디테일, 지붕과 만나는 면의 디테일, 접합의 건전성 등 불투명한 부분이 존재할 수 밖에 없습니다.
즉 논리체계를 세우려면 각종 부위별 시공 디테일을 그리고, 그 것이 합리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되거나, 최소한 해외의 문서, 사례라도 있어야 하는데, 그럴 만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결정적으로 미트하임이 콘크리트 구조의 일체타설을 밀어 붙이면서 협회와 철학이 맞지 않아, 협회 회원사에서 탈퇴를 한 상황이기에, 그 뒤로 과학적 진전이 없었던 것이 큰 이유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