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기초슬라브와 오수배관 시공시 주의점 궁금합니다.

G 김동철 5 1,228 2022.12.17 15:47


기초 문의 copy.jpg

 

 

2층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50평정도 작은 패시브 전원주택을 꿈꾸며 배우고 있습니다.

 

사진은 유튜브 영상과 기술자료를 토대로 만들어 보았는데요. 

 

그림에서와 같이 추천해주시는 시공방식이 맞는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지중보방식의 기초시 빨강색 원부분에 단열재가 끊기는방식은 어떻게 보완할수가 있을까요?

 

밑에 XPS단열재를 깔아주면 될까요?

 

아니면 작은 주택이니 기초는 평슬라브방식이 더 나을수있을까요?

 

또한 평슬라브든 지중보 방식이든 오수, 배수관을 어디다가 시공을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잡석 다짐 하기전에 배관을 먼저 매립해야하는것인지 기초 슬라브 안에 매립해야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PVC 배관의 두께 종류가 2가지가 시중에 팔고 있던데요 VG1등급이 VG2 보다 2배 두껍더라구요.

 

협회에서 추천하고 있는 배관의 두께는 어떤것인지 궁금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2.12.17 16:05
1층 바닥이 지면에서 어느 정도 높이까지 올라 가길 원하고 계신가요?
G 김동철 2022.12.17 18:17
기포콘크리트(50), 단열재(50), 방통(50)일때 두계단 정도로 GL에서 300정도 원하고 있습니다.
다른 좋은 높이가 있을까요?
M 관리자 2022.12.18 14:05
높이가 300 이고, 기포+단열재+방통이 150 이므로, 기초는 지면에서 150 높이부터 시작을 하면 되는 셈입니다.
기초의 두께를 400mm 로 본다면 기초슬라브가 지면 아래로 250mm 내려 오는 것이므로, 기초 하부에 토목용 EPS를 깔지 말고 그냥 수평으로 펴지게 하시고, 기초 하부와 기초 측면을 둘러서 압출법단열재가 들어가는 것이 더 나은 구성입니다.
그러면 말씀하신 기초 테두리의 꺽인 부분이 생기지 않게 되므로, 압출법단열재로 전체 기초를 다 두를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배관은 기초슬라브를 하기 전에 잡석다짐 하부에 매립을 하는 식인 것인 좋습니다.
다만 다짐을 먼저 하고, 배관이 지나갈 자리를 나중에 파서 묻는 것이 정석의 방법이고요.

기초슬라브 또는 기초슬라브 하부에 매립되는 배관은 VG1 이어야 합니다. 천장 속에 노출되는 배관은 VG2로 하셔도 되나, 가격 차이가 많지 않으므로 모든 배관을 VG1으로 하시는 것이 좋긴 합니다.
G 김동철 2022.12.19 10:52
감사합니다. 시공에 관해 많은것을 배워 너무 좋습니다.
M 관리자 2022.12.19 13:39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