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콜드루프와 웜루프의 기밀도 관계

1 건우봉 4 4,765 2014.12.04 15:20
안녕하세요. 글을 나눠서 작성해도 되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다른 내용의 질문같아 따로 작성합니다.

경량목조주택에서,
이 또한 내부에 기밀층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패시브 하우스가 목표가 아님)
외부에 설치하는 투습방수지가 '어느 정도' 기밀층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렇다면 콜드루프가 웜루프보다 기밀도가 떨어질 확율이 큰가요? (일반적인 시공방법에서)

설계업체 직원이라 시공에 대해 잘모릅니다.
웜루프에서 벽체 투습방수지와 지붕 투습방수지가 이어지는지..아닌지..
패시브 건축을 시공도 공부를 많이 해야 되는것 같네요...

Comments

G 홍도영 2014.12.04 17:22
내부에 기밀 /방습층의 형성은 패시브하우스에만 적용되는 곳이 아니라 겨울이 있는 지역에서 내부에서 생활을 하며 난방을 하는 경량목구조는 필수적인 사항입니다.
선택사항이 아닙니다. 다만, 이 기밀층겸 방습층의 자재가 다양한 차이만 있습니다. 외부의 경우는 기밀이라 하지 않고 방풍이라 하는데 찬바람은 단열재의 성능을 저하시키기에 이에 대한 방풍층이 필요한 겁니다.

내부에 기밀층을 설치하지 않으면 이건 하자로 이어집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경량목구조의 하자가 생각보다 적은 것은 흔히 말하는 실크벽지를 꼼꼼히 시공하신 시공업체의 공으로 저는 봅니다. 실크벽지가 어느정도 기밀과 방습을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다습한 우리환경에서는 이것이 조습면에서 단점이기도 합니다.
M 관리자 2014.12.04 21:47
오늘 출장이라 답을 이제야 답니다. 죄송합니다.

홍선생님이 자세한 이야기를 해 주셨으므로, 질문하신 것만 답을 드리자만, 내부통기지붕이 외부통기지붕보다 기밀성이 떨어질 개연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1 건우봉 2014.12.05 13:04
홍도영선생님, 관리자님 고맙습니다.
벽지가 기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걸 이번에 조사 다니면서도 많이 느꼈습니다.
근데 관리자님, 외부통기지붕(웜루프)이 내부통기지붕(콜드루프)보다 기밀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하시는게 잘 납득이 안됩니다. 문맥상 봤을때, 오타이신건지..
M 관리자 2014.12.05 13:07
ㅎ.. 죄송합니다. 잠결에 꺼꾸로 적었습니다.ㅠㅠ

수정해 놓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