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경량목조 구조에서 외단열로만 건축이 가능할까요?
G 박창혁 | 댓글 8
먼저 본 사이트에 올려진 방대한 자료를 이용하게 만들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질문은 노출 콘크리트와 마찬가지 개념으로 경량목조 주택에서도 내부 구조재(목재)를 노출 시킬 수 있을지 문의 드립니다. 외단열로 하면 단열성능이 더 좋아질 듯 하고, 내부를 노출시키면 내부 인테리어도 안해도… 더보기
L형옹벽,역T형옹벽
G 궁금 | 댓글 2
옹벽이 4M가 넘는데요 전단키 빼면 문제가 생기나요? 전단키 빼고 그냥 시공했을경우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crc 보드 문의입니다.
G 나무항아 | 댓글 2
1.옥상 파라펫에 방수시트를 끝내고 crc보드를 붙이려고 합니다. 보드와 보드 사이가 재단을 해도 울퉁불퉁해서 일자로 딱 안맞는데 그 사이를 어떤식으로 처리하면 될까요.? (나중에 젯소 같은 걸로 바르는지 살짝 간격을 띄고 시공한 후 가운데를 무언가로 메꾸는지..) 2. crc보드와 방… 더보기
옥상(조경용) 배수판 질문입니다
G 셀프방수 | 댓글 2
안녕하세요. 셀프 옥상 방수 중입니다. 아스팔트시트를 붙이고, 이제 CRC보드 붙이려는 중입니다. 이후 자재를 미리 구매하려고 "옥상 배수판", "조경용 배수판", "드레인보드" 등으로 검색했습니다만, 대부분 첨부한 사진처럼 생겼더라고요. 둥근부분에 구멍이 없는데, 이런 제품은 사용하면… 더보기
단독정화조 배출수 악취 관련 질문입니다.
G 촌사람 | 댓글 9
안녕하십니까? 늘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여쭤볼 말씀은 시골의 단독주택 마당에 단독정화조가 묻혀 있습니다. 그런데 정화조에서 나오는 배출수가 마당 앞의 복개되지 않은 배수관로를 통해 흘러나가는데 정화조에서 배수관로와의 가리가 약 3미터 정도 밖에 안됩니다. 그래서 그런지 화장실을 사용하고… 더보기
아스팔트계열 실리콘은 어떻게 확인 하나요?
G 나무항아 | 댓글 1
방수시트와 시트 사이에 들뜬 곳에 바르려고 하는데 다음 공정상 부틸실란트를 시키고 기다릴 시간이 없어서 근처 철물점에서 사려고 하는데 아스팔트계열 실란트를 제가 어떻게 확인 하나요? 잘 모르고 외부용/내부용 이런식으로만 말을해서 외부 창문용 쓰면 된다고 하는데 혹시 제가 확인 할 수 있… 더보기
목조주택 화장실 방수와 이중배수관련 질문드립니다.
1 재호 | 댓글 13
항상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1.단독주택 1층 화장실 방수를 보일러엑셀관 위에다 해도 큰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문제가 생긴다면 어떤문제가 생기고 정확한시공은 무엇인가요? 타일마감 사모래층 방수층 (아덱스 wpm003) 몰탈층 면정리용 XL배관+방통 eps 통기초 이순서로 시공 2. 이… 더보기
필로티 기둥의 열교차단문제
1 이준노 | 댓글 3
안녕하세요..설계중인 집의 현관과 주차장쪽의 기둥이 사실상 외부라고 봐야 하는 구조여서 기둥을 통해 2층 바닥으로 전해지는 열교가 걱정됩니다. (스틸하우스입니다)아래 열교차단재들은 인터넷 서핑에서 찾은 제품들인데요, TB블럭이라는 제품으로 이런식의 스틸기둥 위쪽의 스틸구조물과의 만나는 … 더보기
기초공사 잡석다짐과 버림콘크리트에 관한질문입니다
G 마이홈 | 댓글 5
1. 기초공사 잡석다짐에서 잡석이 작은돌이 아니라 건축물 철거하고 나온 폐건축물 시멘트를 잘게 부서트린 잡석인데 이것을 기초공사 잡석다짐으로 사용해도 되는지요? 2. 기초에서 잡석다짐과 비닐작업후 버림 콘크리트를 하지않고 바로 단열재를 깔고 전체 온통기초 콘크리트 타설을 하는데 버림콘크… 더보기
샤시 창호 설치시 t자 철물의 기밀 방법?
G 감사합니다 | 댓글 5
창호를 설치할 때 외부쪽 기밀 테이프 실치법은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내부쪽에 t자 철물로 받쳐올려서 설치시 기밀테이프를 어떻게 처리해야할지 도저히 감이 안오네요. 철물안으로 넣기도 안되고, 철물 위로도 기밀하게 두를 수는 없는 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바닥기초 위에 석분
G 박지원 | 댓글 98
바닥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석분을채우고 단열재를올리는경우가있는데 석분을 채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하수배관과 오수배관을 버림콘크리트 타설후 그위에시공해야하는건지요?
역전지붕 파라펫 두겁, 난간 시공 순서 관련 질의
1 근두운 | 댓글 3
이전글과 관련성이 좀 적은 것 같아 새롭게 글 작성합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62308 두겁, 난간 관련 다른 분들 질의글에서 답변주신 내용 중에 이해가 가지 않는 게 있어서요. 현재 파라펫 부분을… 더보기
단열재 붙힐시 폼 본드 시공을 하면 하자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G 순정 | 댓글 3
늘 정보가 궁금할땐 완벽한 답을 알려주시는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곳 감사합니다 내부 아이소핑크단열할때 폼으로 뿌려서 기밀시공을 하는데 어떤분은 폼은. 오래되면 삭아서 떨어진다고 하고 어떤분은 콘크리트 자체가 수분기가 있어서 시간이 지나면 붙혀있던게 탈락이 되고 폼과 단열재(아이소핑크)이… 더보기
각관 파고라 벽체 고정 시공 문의
1 브랜든 | 댓글 3
안녕하세요. 셀프 건축 중인 건축주입니다. 각관으로 파고라를 만들었는데, 벽체 수직이 맞지 않아, 각관을 벽체에 고정하지 못했습니다. 이번에 고정을 진행해야하는데, 혹시 최선의 방법이 있는지 문의 좀 드리려고요. 벽체구성은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있습니다. 각관골조 -> 경량기포콘크리… 더보기
창호 단열 질문드립니다
G 이루 | 댓글 6
창호 설치와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거실 베란다 창(전창)을 상부 하부로 나누고 상부에 1:3:1로 반창(이중창)을 넣고 하부에는 3중유리 픽스창 단창으로 하고 아이소핑크 같은 단열재를 넣을까 합니다 이렇게 하려는 이유는 거실 베란다 앞에 싱크대를 놓기 위해서 입니다 이렇게 할 때 하부창… 더보기
불법 증축 여부 판단
1 너른배미 | 댓글 3
안녕하십니까. 시골에 있는 주택 증축을 생각 중에 있는데, 아래 내용에 대해 불법 증축인지 아닌지 판단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해당 주택은 1970년대에 지어진 새마을 주택으로 시멘트 블록으로 지어졌습니다. 이후 군청 지원으로 단열이 보강되었는데 샌드위치 판넬을 외단열 처럼 외벽에 부… 더보기
타일위 마감 미장바닥 마감 문의 드립니다.
2 원성대마왕 | 댓글 1
안녕하세요 구옥 외부 화장실 자린데 똥관메꾸라 하고 바닥 미장했습니다. 바닥미장한지는 열흘 넘은것같아요. 벽면은 타일이 툭쳐도 떨어져서 한겹 벗겨낸건데 현재 모자이크타일위에 백시멘인지 타일본드인지 붙어있습니다. 모자이크타일은 견고하게 붙어있습니다. 이것도 스크리퍼로 벗겨내다가 힘들어서ㅜ… 더보기
RC구조 EPS 외단열 후 내부 XPS 추가 단열(외기에 접한 곳)
1 친절한김소장 | 댓글 4
안녕하세요. 형태 : 단독주택 ( 지하 1층 ~ 지상 2층 + 다락) 지역 : 중부 2지역 구조 : RC 외단열재 : EPS 2종 3호 (단열재 후시공 후 석재 마감 또는 롱브릭 타일 마감 예정) 외벽 두께 : 200MM 질문입니다. 외단열을 최대한 건전하게 시공 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더보기
담수테스트
G 땀띠 | 댓글 3
담수 테스트시에 바닥배수관을 어떻게 막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배수구로 담수한 물이 전혀 새지 않게 만드는 방법은?
방수시트 문의드립니다.
G 나무항아 | 댓글 2
1. 인터넷에서 제일 저렴한 상품으로 구매하려고 검색 하는데 ks 인증이 안되어있고 정두께가 아니라 1.6t라고 설명에 되어있습니다. 방수 효과는 동일하다고 하는데 구매해도 괜찮은 걸까요..? https://m.smartstore.naver.com/goryeo12/products/511… 더보기
창문 결로
G 시가 | 댓글 2
신축아파트 이중창호인데 밖에있는창들만 뿌옇더라구요 거실 작은방2개만요 베란다있는 안방은 괜찮구요 이것도하자인가요?ㅜㅜ
전열교환기 배관 설계 문의드립니다.
G 도리 | 댓글 7
안녕하세요. 피코네 유튜브를 보면서 전열교환기 설치의 꿈을 무럭무럭 키워온 사람입니다 ㅎㅎ 금년에 이사를 하게 되어 전열교환기 설치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소화배관 도면과 본 사이트의 설계 사례, 상담중인 업체 자문을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설계를 해보았는데, 혹시 설계상에 문제가 있을까요… 더보기
내부 목상작업 시 바닥 cd관 위치문제.
1 브랜든 | 댓글 2
안녕하세요. 소형 판넬집 직영셀프 건죽 중인 건축주입니다. 실내 목공작업이 한창인데요. 전기업체에서 기초 공사 시 콘센트부분을 고려하여 미리 기초에 묻어두었습니다. 실내 목상작업 중인데, 이 cd관이 목상 위치보다 실내로 도출되어 어찌해야하나 고민 중입니다. 이미 방통이 끝난 상태로 한… 더보기
1미터 폭 깊이 1미터 폭 우수관 매립 후에 채움으로 무슨 재료가 나을까요?
G 토목이 | 댓글 2
중정 안에 우수관을 매립하기 위해 폭 1미터 깊이 1미터 미터 깊이로 땅을 파 놓은 상태입니다. 우수관 아래 석분 150미리, 우수관 위 150을 덮고, 나머지 700미리는 자갈로 채움하려 합니다. 자갈 대신 흙으로 채우는 게 지내력이 나은 지, 자갈로 채움이 나은 지 알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