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의 건설기준에서의 벽체등 단열
G 이성우 | 댓글 9
송구스럽지만 추가질문 드립니다. 중부2지역기준으로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의 건설기준' 제7조 2항 벽체등 단열- 1.상기 법령의 <별표2> '최하층의 거실의 바닥' 부위에 세대내의 욕실(난방됨), 현관(비난방)도 최하층의 거실의 바닥에 포함되는 부위인지 문의드립니다. 해당… 더보기
패시브하우스 창호 기밀, 그리고 상식에 대한 질문
G | 댓글 4
비밀글입니다.
돌차음재관련
G 김주빈 | 댓글 3
다가구콘크리트주택에서살고있습니다. 층간소음하고 우리집방음을위해 천정석고제거하고 슬라브천정면에 붙일까생각중입니다. 내력벽쪽도 떡가배철거하고붙일까고민중입니다. 집준공된지는4년이넘었습니다. 다른게고민이아나라 콘크리트를이걸로 싹다감싸버리면 또다른 문제가생기지않을까하는게 고민입니다. 아예밀봉시킬… 더보기
이보드 시공 질문드려요
G 청라지온아빠 | 댓글 1
안녕하세요 셀프 시공해보려합니다 공부는 많이 했지만 몇가지 헷갈리는게 있어서요 베란다 단열 이보드 시공시 1.우레탄폼을 이보드에 쏜다음 5분후 그대로 베란다벽에 붙이며 시공하면 될까요? 우레탄폼본드만 사용하여 이보드 시공을 해야 될까요? 2.이보드 시공이 끝나고 그위에 페인트 칠을 하려… 더보기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의 건설기준에 관한 질문입니다.
G 이성우 | 댓글 4
안녕하십니까 한국패시브건축협회의 고견을 구하고자 문의드립니다.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의 건설기준 제7조 6항(중부2지역기준) '세대내에 설치되는 발코니 외측창 열관유율은 2.4K/W 이하이여야한다' 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질문1] 2019년에 사업승인을 받은 공동주택의 발코니 외측… 더보기
발코니 페데스탈 데크 마감 관련 질문
G 백성인 | 댓글 2
항상 좋은 답변 제시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지난 번 발코니와 관련한 질문에 대하여 다음 그림과 같은 답변을 해주셨습니다. 발코니 마감재 하부 바탕 구성을 검토하면서 페데스탈 데크로 정리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판단되어 이것으로 결정하고 건축사무실에 다음 그림과 같은 방안을 제안해드렸… 더보기
평지붕 방수 계획
G 푸른나라 | 댓글 1
안녕하세요~ 서울에서 공정률 75% 진행중인 건축주입니다. 시공사와 옥상 평지붕 방수에 대해 의견나누다가 무근타설시 하자보수의 어려움을 설명듣고 고민하던중 유튜브를 보고 이곳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미 내단열로 옥상 슬라브가 끝난상태라 적용하기 힘든거 아닌지 설계자와 논의하다보니 맨 아래… 더보기
방수시트 위 ALC블럭 설치
1 연암 | 댓글 9
두겁에 방수시트를 먼저 시공하고 그 위에 ALC블럭 한 단을 설치해도 괜찮을까요? 문제는 방수시트 위에 블록 접착이 잘 될 것이냐인데 사용 가능한 본드가 있을까요? 에폭시, 몰탈, 실란트가 떠오르는데요. 그레이스 위에 접착력이 어떨까요?
경량철골(조립식판넬) 추가 질문 좀 드립니다
1 소상훈 | 댓글 2
늦은시간까지 답변 달아주셔서 너무 감사했습니다 주신 의견 여러번 읽어보느라 시간이 좀 걸렸어요 제가 제대로 이해했는지와 추가 궁금한 사항이 있어서요 확인 좀 부탁드립니다 1. 벽체 구성, 슬래브 상부단열재, 테라스 열교차단 1) 벽체는 외단열로 변경했는데요...상부슬래브 하단은 단열재를… 더보기
열회수환기장치 제품 추천 및 설치 장소 문의합니다
G 차하린 | 댓글 3
단독주택 신축 입니다 . 설계 마무리 단계인데 열회수 환기 장치에 대해 알게 되어서 설계에 반영하려합니다. 어린 아이가 3명 있고, 첫째가 아토피라 실내 공기 질이 매우 중요합니다. 22평 다락있는 집 입니다, 설계에 빠르게 반영이 되어야 해서 제품 크기나 설치 방법이 정해져야합니다. … 더보기
옥상 가압펌프 진동방지패드 후 집안의 새로운 진동발생
G 배관 진동 | 댓글 7
안녕하세요 저번에 가압펌프관련 질문을 드렸었는데 일단 펌프 밑에 진동방지패드를 설치하여서 진동은 다소 감소했습니다. 다만, 새로운 이전 가압펌프 진동과는 바교할 수 없는 큰 진동이 새롭게 유발되었는데 이게 정확한 원인을 몰라서 문의드립니다. 일단 좀 더 상황을 정확히 묘사해 드리면 1.… 더보기
목조주택 지붕벤트 처리방법 문의드립니다
G 또치 | 댓글 1
안녕하십니까? 제주도에 중목구조로 건축 예정인 건축주입니다 제주도는 태풍이 많고 습도도 높은 지역이고 태풍이 올 경우 비바람이 아래에서 위로 치고 올라가는 특성이 있습니다. 건축 예정인 목조주택의 지붕구조는 웜루프로 시공할 것입니다. 태풍시 목조주택의 릿지와 소핏벤트로 거센 바람에 의한… 더보기
열회수환기장치 관련 질문
G 백성인 | 댓글 3
좋은 정보들 감사히 잘 보고있습니다. 이 협회에서 열회수환기장치의 필요성을 적극 강조하고 있기에 요즘 집중적으로 검토를 하고 있습니다. 열회수 환기장치를 설치하면 내부에 공조라인이 깔리는 데요, 이 시스템에 냉난방(또는 냉방) 시스템을 결합시켜 사용한다면 천정에 보기 싫은 에어컨 기기가… 더보기
1층 필로티 천장 마감 질문
G 닥터박 | 댓글 4
필로티 1층이 지금 주차장인데 주차장은 그냥 콘크리트를 그대로 놔두려고 합니다 현장 소장님은 천장에 저렇게 파이프가 되어 있는 곳만 석고를 쳐서 마감을 한다고 하고 파이프가 없는 곳은 그냥 놔둔다합니다 그리고 업체에서는 빠데??를 하고 페인트로 마감쳐서 콘크리트처럼 보이게 하라고 합니다… 더보기
배관
G 환기 | 댓글 1
저부분을 깔끔하게 막고싶은데 박스테잎은 안될것같고.. 제품좀 추천해주세요!
목구조 나무 자재 문의
G Lemon | 댓글 2
안녕하세요 경기도 광주에 42c 5d 를 건축 중인 건축주입니다. 저희 집이 많이 올라왔습니다. :D 집을 짓다보니 목구조에 쓰인 나무가 캐나다 나무라고 들었는데, 나무 자재에 대한 정보도 알 수 있을까요? 좋은 나무 인 것 같은데 ㅎㅎ 홈페이지에 찾아보니 나무에 대한 정보는 없ㅇㅓ 우… 더보기
비닥미장(방통)관련 질문드려요
1 삼형제아부지 | 댓글 1
방통공사를 예정에 두고 있습니다. 1. 1층에는 0.1미리 비닐+30미리 아이소핑크 +와이어메쉬+엑셀+차양망+몰탈 예정으로 총두께를 100mm로 맞출 예정입니다. 몰탈이 아이소핑크 위로 70미리 가량 쳐지게 될는건데 이럴때 난방 효율에 문제가 없을까요? 2. 2층에는 10미리 열반사+와… 더보기
아파트 배란다 외벽 결로 현상으로 인한 단열 시공문의드립니다.
G 정사랑 | 댓글 7
안녕하세요. 경기 남양주에 있는 아파트 21층 에 입주해서 살고 있는 사람입니다. 6년된 아파트를 2020년 초에 매매로 들어가서 올 겨울을 지내다 보니 외벽쪽이 얼어버리고, 곰팡이가 피는 문제가 있어서 단열 시공을 하고 싶어서 질문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아파트 도면이랑, 현재 사진을 … 더보기
내부 공사 재료
G 닥터박 | 댓글 2
안녕하세요 최근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두겁(하기로 했습니다.. 흑) , 화장실 방수 등.. 이번엔 내부장재의 문제인데요 하.... 철근콘크리트이며 외단열로 테크론 80T를 하고 조적을 쌓았습니다 내장재에서 페인트 마감인데요 2p 석고를 무조껀해야한다와 1p 합판 2p 석고 1p 석… 더보기
바닥공사
1 연맘 | 댓글 4
콘크리트 주택 바닥공사 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기초는 "집석-PE비닐-버림콘크리트-단열재(220mm)-철근 콘크리트" 로 공사를 했습니다. PE필름은 거의 찢어졌었고, 단열재는 기초 가운데만 깔려있는 상태입니다. 테두리부분에 단열재가 없다보니 바닥 단열재를 깔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문… 더보기
거실 씰링팬 설치시 전열교환기 공기순환에 도움이 되나요?
G 황현준 | 댓글 3
이사하면서 인테리어시 전열교환기를 설치하려합니다. 인테리어 검색하다보니 씰링팬이라는걸 하면 이쁠거같기도하고 실용적일거 같아서요 전열교환기가 내부 공기를 순환? 시켜주는 기기로 알고있는뎁 여기에 씰링팬이 추가된다면 순환이 께진다거나 기류가 바뀌거나 하는게 있을까요?
외부통기지붕과 평천장 단열재, 그리고 소음 관계에 대해 문의드려요
G 초보건축주 | 댓글 3
저는 경량목구조 신축 예정인 건축주입니다. 협회의 도움으로 많이 공부하고 준비할 수 있어 감사한 마음이에요. 정말 고맙습니다. 여쭤볼 부분은 제가 시공사에 외부통기지붕 시에는 평천장에 단열재(글라스울)를 시공하면 안된다고 말씀드렸더니 시공상에서 목조는 방의 소음이외부로 잘 들리니평천장에… 더보기
엑셀시공 위치
1 완이 | 댓글 9
게시판 글을 읽다가 엑셀시공 위치가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규정상 외벽에서 150mm뛰워야 한다고 하셨는데 이유가 있을까요? 더가까이 설치할때 문제가 되나요? 100mm정도에 설치할까 생각했거든요. 그리고 측면완충제 제품들이 미트하임에서 나오는 형식처럼 플라스틱같은소재로 위아래 통기층(… 더보기
목조주택 지붕 단열로 그라스울을 주로 쓰는 이유가 뭔가요?
G 질문 | 댓글 4
1. 제목 그대로 목조주택 지붕 단열로 그라스울을 주로 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시공상의 여건? 가격? 투습계수의 이유? 기타이유?) 2. 목조주택 지붕 단열재로 경질우레탄보드를 사용한 현장을 봤습니다. 내측에 가변형 투습방수지가 있고, 외부에는 투습방수지와 통기층이 있었습니다. 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