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적식 주택 리모델링 중 질문

설계/시공관련 질문

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조적식 주택 리모델링 중 질문

G 7057 16 716 05.03 00:43

안녕하세요.

40년이 넘은 2층 조적식 슬라브 주택을 직접 리모델링 중에 질문을 드립니다.

질문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댓글로 남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1.jpg

 

10.jpg

 

9.jpg

 

8.jpg

 

7.jpg

 

6.jpg

 

5.jpg

 

4.jpg

 

3.jpg

 

2.jpg

 

1.jpg


Comments

G 7057 05.03 00:52
우선 집을 영상으로 집을 소개해드리면 정확한 답변을 주시는데 도움이 될거 같아 영상 링크를 남깁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SpOHVo0GMk

몇가지 질문을 드립니다.

질문 1.
현재 경사 지붕이 조적벽 위에 목상 - 개판 - 황토 - 기와 - 목상 - 칼라강판 순서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지붕 단열이 안되어 있습니다. 목상 - 개판만 남기고 나머지는 철거 후 단열층을 만들어서 지붕을 다시 올리려고 합니다. 지붕 구성을 어떻게 가져가면 좋을까요?
현재는 아래의 구성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유튜브에 공개하신 영상을 참고했습니다.)
목상 - 개판 - EPS 150mm - 세로 각상 38mm(2x2 inch, 투바이투 허용) - 합판(통기층 구멍 필요) - 스테인리스 방충망 - 방수시트(부직포가 붙어 있는 방수시트 허용) - 멤브레인 - 금속지붕

질문 2.
칼라강판을 포스코 포스맥으로 구입하려고 합니다.
인터넷으로 찾아보니 구입처가 마땅치 않던데 구입처를 어떻게 찾으면 될까요?

질문 3.
방통 바닦 레벨을 맞추기 위해 석분을 구입하려고 합니다.
라이브 방송에서 네이버에서 석분으로 검색하면 구입할 수 있다고 답변을 주셨었는데요.
제가 검색 능력이 부족한지 찾지 못했습니다.
공주나 대전 지역에서 석분을 구입하려면 어떤 곳에서 알아보면 좋을까요?

긴 질문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M 관리자 05.03 11:06
1. 현재 목바탕재과 개판의 상태가 괜찮다는 것을 전제로...

가. EPS 표면에 방수층이 없는 구성이므로, 통기층으로 들어간 소량의 빗물을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서, EPS 가 두겹이 좋습니다. 그리고 조인트는 폼으로 밀실하게 접착이 되어야 하고요.
또한 이 빗물이 외측으로 흘려 내려가서 외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지붕의 끝 마무리 위치를 고려하셔야 합니다.

나. 통기층으로 활용되는 세로 목재틀이 개판에 고정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개판이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는 상태여야 합니다.

다. 부직포가 붙어 있는 방수시트는.. 겨울철에 매우 딱딱하게 굳는 제품입니다. 그러므로 굳이 그 용도를 찾자면.. 금속지붕 마감이 되기전에 비가 오는 경우를 대비하는 것 외에 달리 용도는 없습니다.
이미 멤브레인이 개입되고 있기에 금속 이격재로써의 용도도 의미가 없고요.
그러므로 날씨를 보셔서 제외해도 괜찮습니다.

2. 칼라강판은 B2C 로 구입하기는 어렵습니다. 현장 가공을 해야 하는 것도 있고요. (절곡기계 필요)
그러므로 포스맥 시공이 가능한 지붕 공사 회사를 하나 섭외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3. 검색을 해보니, 아래와 같은 곳이 있는 것 같습니다. (거래를 해본 적은 없습니다. 그저 검색으로 찾은 곳입니다.)
https://blog.naver.com/samsung8844/10122510976

 질문 하신 것을 떠나서...
이런 형식의 주택에서 항상 문제가 되는 부분은.. 외벽 상당의 (미장이 되어 있지 않은) 조적 부분 그 자체의 (벽돌 틈새의) 누기와 미장을 추가하더라도, 조적벽과 지붕이 만나는 부분에서의 누기입니다.

그러므로, 이 부분에 대한 대책을 세우고 진행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G 7057 08.01 15:21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 드립니다. 철거를 거의 마무리 지었습니다.
이중창과 시스템창 중 고민 끝에 시스템창을 설치하려고 합니다.

1층은 외부 계단과 마감(현재 석재, 벽돌)을 고려해서 내단열, 2층은 외단열을 하려고 합니다.
아래 자료들을 살펴보고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 협회 기술자료실의 "협회인증건물을 위한 PVC시스템 창호 시방서"
 - 사례집 중 "좌충우돌 제로에너지 아파트 리모델링"
 - 이곳 설계/시공관련 질문 게시판을 살펴보았는데요.

1층 내단열시 덧바를 추가하지 않고 결로 등의 하자 없이 시스템 창호를 설치할 수 없을까요?
할 수 있다면 어떠한 디테일을 가져가는 것이 좋을지 궁금합니다.
M 관리자 08.01 15:41
영상을 보니.. 창문과 천장 슬라브 사이에 벽체가 있어서 공틀은 설치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G 7057 08.01 16:22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위 질문에 대한 답을 안주셔서 다시 질문합니다ㅠㅠ

1층 내단열시 덧바를 추가하지 않고 결로 등의 하자 없이 시스템 창호를 설치할 수 없을까요?
할 수 있다면 어떠한 디테일을 가져가는 것이 좋을지 궁금합니다.
G 7057 08.01 16:24
아아 공틀이 덧바를 말씀하신거군요!
내단열시 시스템창 설치 디테일을 참고할만한 글이나 자료가 있을까요?
M 관리자 08.01 16:57
딱히 없습니다.
그저 창틀을 구조체 안쪽 선에 맞추어 시공을 하고, 벽 단열을 하시면 되는데요.
아래 글과 댓글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67388
G 7057 08.01 17:09
그렇군요.
괜찮으시면 스케치업으로 그린 시공 계획을 영상으로 찍어서 여쭤봐도 될까요?
M 관리자 08.01 19:10
네 그러셔도 되긴 하는데..
컷으로 캡처해서 그림으로 올려 주시면 제가 답변이 조금 더 용이할 것 같습니다.
G 7057 08.04 12:41
안녕하세요. 주말내내 고민을 하다가 질문을 드립니다.
우선 어제 있었던 라이브 방송은 이후 보충 학습으로 잘봤습니다.
1층 내단열을 하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면적 손실이 크더군요. 가능하다면 1층도 외단열로 해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외부 마감이 붉은 벽돌, 석재인데 계획대로 시공할 수 있을지 고민입니다.

외단열 방법은 유튜브 "건축주학교 s3-23. RC 공사 과정 23 - 시공마무리, 골강판, 마당, 시스템 등"에서 https://youtu.be/_LbSneoK1B4?si=CYsMqLmkDYmCmzkX 잠시(유튜브 영상의 7분 25초 ~8분 15초까지) 언급하신 방법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외단열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페인트칠이 되어 있는 벽은 페인트 리무버를 발라서 벗겨낸다. (이렇게까지 할 필요가 없다면 리무버 없이 긁어낸 후 시공하려고 합니다.)
2. 건물 외벽을 고압 물세척 또는 바람으로 먼지를 물어낸다.
3. 외단열 레이어는 "마감재 - 목재 각상 - 투습방수지(글라스울 사용시 생략) - 단열재 - 외벽"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단열재를 eps로 사용할 경우 g2본드를 사용해서 부착하려고 하며, 글라스울을 사용할 경우 화스너를 사용해서 부착하려고 합니다.

제가 궁금한것은 위의 레이어가 유효한 방법인지와 eps와 글라스울 시공 방법이 실현가능한지 궁금합니다.
G 7057 08.04 12:42
외단열 계획
M 관리자 08.04 18:45
생각하고 계시는 단열재 두께가 대략 얼마 정도인가요?
G 7057 08.04 21:29
eps 기준 150mm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글라스울로 하게 된다면 두께를 어느 정도로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M 관리자 08.05 14:11
이런 외벽의 구성은.. 외부 목재 (예측컨데 2x2)에 박히는 화스너가 단열재를 관통하여 구조체에 박히는 식이어야 하는데, 이게 콘크리트 구조체가 아닌, 조적이나 석재에 박히는 식이라면 어려워 보입니다.
조적이나 석재에 박히는 화스너의 인발강도가 외장재 무게를 버틸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단열재가 훨씬 얇아지던가, 외단열미장마감(드라이비트) 형식으로 변경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물론 구체적인 구조검토를 해 볼 수도 있겠으나 이런 분야에 대한 구조계산을 해주실 분을 찾기도 어렵고, 그 비용도 꽤 클 것이기에, 정밀 검토 후 반영을 하는 것은 현실적이지는 않습니다.
G 7057 08.06 16:09
그렇군요. 단열재가 얇아진다면 eps 기준 단열재 두께를 얼마로 해야할까요?
M 관리자 08.06 21:48
석재에 박히는 것이라면 단열재없이 직접 박아야 하며, 벽돌이라면 50mm 정도가 안전율을 감안한 한계로 보입니다.
Category